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이용수 174

영문명
Cluster analysis by grou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daptation to smart media utilization of beauty major Adolesc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주영 권기한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105~11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업동기, 성장마인드셋, 학업기대와 가치기반수용모델을 기반으로한 스마트 미디어의 지각된 혜택, 지각된 희생, 지각된 가치와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유형을 군집화하고, 학업적응에 의미 있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한다. 방법 서울지역 뷰티 전공 중학생, 고등학교 남녀 학생 581명을 표집하고. 연구 요인 간의 유사한 종류의 개체를 각각 범주로 그룹화하여 다양한 속성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방식의 군집분석을 하고, 군집 간 학업적응에 대한 차이 분석의 F검증을 수행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들을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집단 유형의 분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집단은 4개로 유형화 되었고, 군집1은 다중고, 군집2는 고희생, 군집3은 고내재, 군집4, 다중저 집단으로 분류 되었다. 둘째, 군집별 분산분석의 평균값은 학업기대. 지각된 가치, 학업적응에 따라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뷰티전공 청소년들의 학업적응을 향상 하기위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와 스마트 미디어의 군집분석을 통해 학업적응에 대한 군집화 간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환경 개선과 함께 학업적응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군집의 차이에 따른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집단 간 차와 개인 간 차이의 양방향 종단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lustered the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acrifices, perceived values, and academic adjustment of smart media based on academic motivation, growth mindset, academic expectations, and value-based acceptance model of beauty majoring youth. and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adaptation. Methods The sample for this study was 581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male and femal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Seoul were sampled. Individuals of similar types among research factors were grouped into categories, and cluster analysis of the overall approach for various attributes was performed, and F-test of difference analysis on academic adaptation between clusters was performed.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research data. Results First, the classification of group type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groups were classified into 4 types, and cluster 1 was classified into high multiple groups, cluster 2 high sacrifice, cluster 3 high, intrinsic cluster 4, and multiple bottom groups. Second, the average value of ANOVA for each cluster wa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confirmed according to perceived value and academic adjustment.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difference between clustering for academic adaptation through cluster analysis of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and smart media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daptation of beauty major youth.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dapt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a strategic approac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necessary. In future studies, it is suggested that a two-way longitudinal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between individuals be conduc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주영,권기한. (2023).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4), 105-119

MLA

이주영,권기한.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2023): 105-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