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이용수 543
- 영문명
-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during COVID-19: Focusing on 2020 and 2021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효원 김누리 육진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43~5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자발적 원격수업이 실시된 2020년과 2021년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와 변화양상을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전라남도 소재 2개 대학의 1~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에 실시된 K-NSSE(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020년에는 327명, 2021년에는 461명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집단 간 학습성과(핵심역량과 전공능력) 차이가 나타나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그리고 학습성과인 핵심역량과 전공능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한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낮은 수준 학습경험형’, ‘중간 수준 학습경험형’, ‘높은 수준 학습경험형’의 3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셋째, 학습경험이 낮은 집단의 특징을 확인한 결과, 2020년은 새로운 원격교육 환경에서 인지적 어려움을 보인 반면, 2021년에는 원격교육 환경에 적응하면서 인지적 학습경험은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20년과 2021년 도출된 잠재집단에 따른 학습성과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과 전공능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지속된 원격수업 환경에서도 자기주도학습전략 및 학습기술, 학습동기가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학습회복과 학습성과를 높여주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 whether latent class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changes, focusing on 2020 and 2021, when involuntary distance classes were conducted due to COVID-19.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K-NSSE survey conducted in 2020 and 2021 targeting the first to fourth grader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and Jeolla-namdo were used. Finall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327 people in 2020 and 461 people in 2021. Also, one-way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groups.
Result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which are learning outcomes,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learning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ree latent groups were derived in 2020 and 2021 years : an ‘high-level learning experience’, a ‘medium-level learning experience’, and a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difficulties were shown in 2020 in the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ype, while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lowered in 2021.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groups derived in 2020 and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techniques, and learning motiv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even in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at has continued due to COVID-19. Also,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al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recovery and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