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이용수 472

영문명
Analysis of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during COVID-19: Focusing on 2020 and 2021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효원 김누리 육진경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43~5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비자발적 원격수업이 실시된 2020년과 2021년을 중심으로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따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잠재집단이 도출되는지와 변화양상을 탐색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와 전라남도 소재 2개 대학의 1~4학년을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에 실시된 K-NSSE(학부교육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최종적으로 2020년에는 327명, 2021년에는 461명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집단 간 학습성과(핵심역량과 전공능력) 차이가 나타나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확인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자기주도학습전략, 유의미학습,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그리고 학습성과인 핵심역량과 전공능력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학습경험에 기초한 잠재집단을 탐색한 결과 2020년과 2021년 모두 ‘낮은 수준 학습경험형’, ‘중간 수준 학습경험형’, ‘높은 수준 학습경험형’의 3개 집단이 도출되었다. 셋째, 학습경험이 낮은 집단의 특징을 확인한 결과, 2020년은 새로운 원격교육 환경에서 인지적 어려움을 보인 반면, 2021년에는 원격교육 환경에 적응하면서 인지적 학습경험은 향상되었으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낮아진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2020년과 2021년 도출된 잠재집단에 따른 학습성과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핵심역량과 전공능력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지속된 원격수업 환경에서도 자기주도학습전략 및 학습기술, 학습동기가 학습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학습회복과 학습성과를 높여주기 위한 다양한 교육적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 whether latent classe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and their changes, focusing on 2020 and 2021, when involuntary distance classes were conducted due to COVID-19.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results of the K-NSSE survey conducted in 2020 and 2021 targeting the first to fourth graders of two universities located in Gyeonggi-do and Jeolla-namdo were used. Finall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327 people in 2020 and 461 people in 2021. Also, one-way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utcomes between groups. Results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meaningful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which are learning outcomes,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in the learning situation of college students. Second, three latent groups were derived in 2020 and 2021 years : an ‘high-level learning experience’, a ‘medium-level learning experience’, and a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hird, It was found that cognitive difficulties were shown in 2020 in the low-level learning experience type, while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lowered in 2021.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learning outcomes between groups derived in 2020 and 2021,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core competencies and major skill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learning techniques, and learning motiv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i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even in the remote learning environment that has continued due to COVID-19. Also,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al supp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learning recovery and learning outcomes of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효원,김누리,육진경. (2023).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4), 43-56

MLA

김효원,김누리,육진경.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2023): 43-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