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이용수 593
- 영문명
- The experience of father growing up rais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Giorgi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혜진 김지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4호, 87~1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7명의 아버지가 자녀의 자폐스펙트럼 장애 진단을 받고 고뇌하고 성장하는 과정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수행한 결과이다. 이 연구는 아버지가 겪는 주관적 경험을 바탕으로 살아 있는 체험에 대한 의미를 분석하여 기술한 것이다.
방법 만 7세-20세까지 경도의 ASD 자녀를 양육한 7명의 아버지들로 이루어졌다.7~20세 아동 및 청소년으로 정식 ASD 장애진단을 받고 복합 장애(ASD+신체)인 경우는 제외했다. K-WISC-Ⅳ 지능 검사에서 ASD 의사의 진단 충족 여부와 IQ 60 이상의 대상으로 하였다.2020년 9월 초부터 2020년 12월 중순까지 1회 40-60분 기준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심층분석이 필요할 때는 개인별 전화 통화를 통해 2-3회 추가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전자메일로도 추가 질의 및 답변이 이루어졌다.
결과 7명의 아버지는 배경은 다르지만 비슷한 성장 경험을 나타냈다.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결과 “자녀의 자폐스펙트럼장애와 마주침”, “장애 자녀 존재와 아버지의 고뇌”, “긴 여정을 시작하는 아버지의 희생”, “작은 변화에도 감사의 마음”, “함께하는 아버지가 되다”라는 5개의 본질적 의미가 나타났다.
결론 한국 사회의 대다수 아이들과 다른 과정을 겪으면서 발달하는 ASD 자녀를 기르는 가정은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아버지들에게 있어서 자녀의 성공은 자신의 자부심이자 타인의 인정을 받는 욕망의 한 부분이다. 이러한 사회 구조 속에서 경쟁적이고 성공 지향성을 추구하는 남성이 아버지라는 이름으로 ASD 자녀를 바라보는 마음은 실로 복잡하며 그 무게감과 좌절도 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경험을 강조하고 그들의 삶을 보다 잘 이해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n the experience of a father This study analyzes and describes the meaning of living experiences based on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fathers. Seven fathers, who raised mild ASD children from 7 to 20,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process of agonizing and growing together until they accepted the diagnosis of their children's disabilities.
Methods It consisted of seven fathers who raised minor ASD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7 and 20. Children and adolescents aged 7 to 20 were diagnosed with a formal ASD disorder and were excluded from the case of complex disability (ASD+body). In the K-WISC-IV intelligence test, whether or not ASD doctors' diagnosis was satisfied and the subjects were IQ 60 or higher. From early September 2020 to mid-December 2020, interviews were conducted once for 40-60 minutes. When in-depth analysis was needed, two to three addition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phone calls, and additional questions and answers were also made by e-mail.
Results Analysis of the experiences of seven study participants revealed six essential meanings: “to encounte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 suffer from the presence of disabled children and father's anguish,” “to make a long journey,” “to hurt as a father,” “to face the truth,” and “to be a father.” In this study, fathers considered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Conclusions Families raising ASD children who develop through a different process from most children in Korean society have many difficulties. For fathers, a child's success is a part of their own pride and desire to be recognized by others. In this social structure, the mind of a competitive and success-oriented man looking at ASD children in the name of a father is really complicated, and the weight and frustration are grea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e father's experience and better understand their liv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동의 행복과 협동심의 종단적 상호관계
- 복잡한 데이터를 활용한 모델 기반 탐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과학적 상상력 발현 및 인식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자폐스펙트럼 자녀 장애를 기르며 성장하는 아버지의 경험
-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창의적 교수법 개발 프로그램 내용 특성 비교 분석
- 기술변화에 따른 산림 분야 종사자가 인식하는 일자리 및 업무변화
- 초등예비교사의 교직선택동기, 자기주도적 학습이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수직선 및 수체계, 실수의 성질 의미와 관계에 대한 중학생의 오류와 그 오류 사이의 관계
- 종합병원 간호사의 소명의식, 긍정심리자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교사의 학부모 상담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국내 일반대학 강의평가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 고찰
- 사진을 활용한 시 쓰기 교육 연구
- 코로나19 시기 대학생의 학습경험 유형 및 특징 분석
- 초등 도덕 교과서 삽화에 드러난 ‘성역할 및 성 형평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을 적용한 지역사회간호학 교육이 학습동기, 학습관련 자기주도성,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력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 정체성을 통해 바라본 초등 음악교과서 분석
- 청각장애인의 읽기 이해력 관련 연구 동향
- 실생활 맥락의 조건 명제에서 보이는 고등학생의 추론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에서 역할놀이의 도덕교육적 의미 연구
-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및 사회적 지지와 민감성 간의 구조분석
- 원불교 수행자의 ‘마음공부’에 나타난 성찰경험 내러티브 탐구
- 뷰티 전공 청소년의 학습동기, 스마트 미디어 활용의 학업적응 간의 집단별 군집분석
-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소명의 관계에서 학업성취도와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행동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물질의 상태 분류에 대한 과학교사와 머신러닝 모델의 분류 결과의 비교 분석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성장기 교육에 대한 연구
- 예비영어교사들을 위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전공 교과목 수업 방법 실행연구
- 코로나19(COVID-19) 장기화로 인한 대학생의 피로, 우울, 삶의 질이 여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의성어⋅의태어 선정과 교육방안 연구
- 중학생의 프라이버시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최신 개인정보 유출 사례 기반의 정보보호 교육 자료 개발
- ‘바른소리’ 교육프로그램 참여 노인의 언어기능 발달과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변성암 분류 과정에서 정보 제공 정도에 따른 지구과학 교사들의 시선 특성과 암석 판별의 정확성 분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과 우울의 관계
- 여성 자살생존자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 기혼 여성 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초중고 학생들의 학교생활만족 관련 변인들 간 구조적 관계
- 초등교사 스키마니아 가족의 첫 번째 겨울나기
- 태권도 지도자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 및 여가활동 제약에 대한 탐색적 분석 연구
-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교육 유형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비교
- 미디어중독 수준에 따른 아동의 교사-아동 간 친밀감과 갈등, 사회적 위축, 삶의 만족도 간 구조분석
- 아동 간호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 자신감, 학습만족도, 학업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Effects of Explicit Reading Strategy Instruction on High and Low English Proficiency Learners
- 상담심리 전공 대학생을 위한 핵심역량 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공감 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효과
- SBAR를 활용한 인수인계 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자기효능감,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지역교육과정 정체성 논의
- 필자의 텍스트 반성에 대한 화용론적 접근
- 인터넷 시대 한국어 교재 연구에 대한 일고찰
-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 초등영어 CLIL 수업을 위한 비계 지원 전략
- 상담수퍼바이저 역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생태전환교육에 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Biesta의 실천적 상호주관성 개념에 비추어 본 기술기반 미래학교 알트스쿨의 비판적 탐색
- 미용 학습자가 지각한 교수자의 훈육, 신뢰와 학습참여동기의 관계 연구
- OECD 학습 나침반 2030에 기반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4호 목차
- 일터학습개념의 전문대학 적용사례 효과성 검토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대체가능성 논변과 쾌락의 개별성 문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