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이용수 348

영문명
Classifying Latent Profiles of Career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University Students and Differences in Career Adaptation and Job Search Burnout by the Profil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정은교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1079~109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방법 국내 대학생 683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여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하위요인 수준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고, 일원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결과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하위요인 따른 유형은 ‘보통형’, ‘자기결정형’, ‘비자기결정형’의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검증 결과, 진로적응성은 ‘자기결정형’, ‘보통형’, ‘비자기결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은 반면, 취업소진은 ‘비자기결정형’, ‘보통형’, ‘자기결정형’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자기결정형’ 유형은 가장 바람직한 유형이므로 이 유형에 속한 학생들이 ‘자기결정형’을 유지하여 순조롭게 직업세계에 정착할 수 있도록 꾸준한 점검과 관리를 실시해야 한다. ‘비자기결정형’ 유형의 경우, 진로적응성은 가장 낮은 반면 취업소진은 가장 높아 위험 상황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대학에서는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보통형’ 유형은 직업 세계에 진출에 대한 동기가 아직 분명하게 형성되어있지 않으므로 이들이 자기결정형으로 변모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진로 개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career motivation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 differences in career adaptation and job search burnout by the profiles in South Korea. Methods The survey data of 683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analyzed in the study.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career motivation, and one-way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career adaptation and job search burn out by the profiles. Results Career motivation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profiles which were ‘normal’, ‘self-determined’, and ‘non self-determined’. Career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self-determined’ type, ‘normal’ type, and ‘non self-determined’ type, while job burno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rder of ‘non self-determined’ type, ‘normal’ type, and ‘self-determined’ type. Conclusions The ‘self-determined’ type was found to be a desirable type with the highest career adaptability and lowest job search burnou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increase self-determined career motivation in career field for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교. (2022).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4), 1079-1097

MLA

정은교.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2022): 1079-10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