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이용수 115

영문명
Exploring the educational values of Korean folk play and the revitaliz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상은 박상봉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1047~1061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에서 민속놀이의 반영 비중이 축소되는 현상에 대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탐색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민속놀이의 반영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학교 교육에서의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문헌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민속놀이 관련 선행연구, 교육과정 문서 등을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여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체육과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드러난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반영 양상을 탐색하였다. 결과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는 전통성, 예술성, 유희성, 향유성으로 범주화되었다.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반영 양상은 제1차부터 제3차 교육과정까지 독립영역 없이 관련 영역의 내용 요소로 제시되었다. 제4차부터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계절 및 민속 운동’이라는 독립영역 신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영역별 활동이 필수활동과 선택 활동으로 구분됨에 따라 민속놀이에 관한 신체활동 예시가 증가하였다.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민속놀이에 관한 독립적인 중영역과 소영역이 신설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민속놀이는 총론의 인간상 및 핵심역량과의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체육과의 역량인 신체 표현 능력, 경기 수행 능력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질적 관점에서 민속놀이는 영역의 내용 요소로 제시되는 등의 축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론 초등학교에서 민속놀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속놀이의 위상 제고를 위해 민속놀이의 선택 기회를 늘리도록 한다. 둘째, 민속놀이를 교과간 통합 또는 연계하여 지도한다. 특히 저학년의 통합교과에서 민속놀이를 접할 기회를 꾸준히 제공한다. 셋째, 4차 산업혁명 기술과 민속놀이를 접목하여 민속놀이 활성화를 위한 제반 환경을 조성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found that the importance and proportion of Korean folk play were decreasing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ried to find ways to revitalize Korean folk play in school. For this, firstly, the Korean folk play’s educational values which we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reflection aspect were examined. Based on this, strategies to revitalize Korean folk play in Elementary school were proposed. Methods The data such a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Korean folk play, curriculum documents, etc were collected, and as the research method, the literatur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Results The educational values of Korean folk play were categorized into traditionality, artistry, playfulness, and enjoyment. The aspect of reflecting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 folk play was presented as a content element of the related area without an independent area during the 1st to 3rd curriculum. In the 4th to 6th curriculum, an independent content area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7th curriculum, the activities by area were divided into mandatory and optional activities, so the example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folk play increas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and 2009, the independent small and middle areas of Korean folk play were establish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Korean folk play was deeply related to ideas of an educated person and key competencies of curriculum revision. In addition, i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Expressive movement ability and Athletic performance competence, which were the competency of Physical education competencies. Despite the organic relationship with the idea of an educated person and competencies, Korean folk play was gradually introduced as the content factor of the area, and the proportion of this decreased. Conclusions The ways to revitalize Korean folk play in Elementary school were as follows. First, to enhance the status of Korean folk play, expand the opportunities to choose Korean folk play. Second, teach Korean folk play by integrating or linking between subjects. Third, expand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Korean folk play such as linking Korean folk play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목차

Ⅰ. 서론
Ⅱ.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
Ⅲ. 교육과정 변천 과정에서의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반영 양상
Ⅳ. 초등학교에서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상은,박상봉. (2022).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4), 1047-1061

MLA

최상은,박상봉.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2022): 1047-10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