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과 동료 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32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 of Big 5 personality and coworker relationship on the Burnout of Daycare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연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819~83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유형과 동료 관계의 영향력을 살펴보며, 보육교사의 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해 심리적 변인을 통한 보육의 질 제고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과 충북 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또한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고자 기술통계와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 Pearson의 적률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소진 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서적 탈진은 신경증 요인과 정적상관이며,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비인간화는 신경증 요인과 정적상관이며,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취감 감소는 신경증 요인과 정적상관이며, 성실성, 외향성, 친화성, 개방성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동료 관계와 소진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과 동료 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소진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탈진에는 성격 요인 중 신경증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성격 요인은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비인간화는 성격 요인의 신경증과 동료 관계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며, 성취감 상실에는 성격 요인의 성실성, 친화성, 외향성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결론 보육교사가 겪는 소진을 경감하기 위해 교사의 성격특성 중 소진에 취약한 요인을 가진 보육교사를 집중적으로 지원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교사의 동료 관계에서도 원만한 관계가 될 수 있도록 개인뿐만 아니라 기관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tends to improve daycare quality by examining the impact of personality types and coworker relationship on burnout among daycare teachers, as well 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can help prevent burnout among daycare teacher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8 daycare teachers who worked in daycare centers in Seoul and Chungbuk. In addition, In addition, Pearson's timely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bles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 using the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influence between burnout.
Results First, emotional exhaustion was favorably connected with neurotic characteristics, while sincerity, extroversion, affinity, and open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hen the five personality variables of daycare teachers, coworker relationships, and burnout were investigated. Extroversion, affinity, and honesty were negatively connected with dehumanization, while neurotic fact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incerity, extroversion, affinity, and flexibility were inversely connected with a drop in sense of achievement, while neurotic fact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worker relationships and burnout sub-factors was all negative, indicating that the better the coworker relationship, the less dehumanization, loss of achievement, and emotional exhaustion. Second, when looking at the five personality factors of daycare teachers and the effect of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on burnout, it was observed that neurosis, which is a sub-factor of burnout, had a substantial effect among personality factors, while other personality factors had no effect. Dehumanization had a strong impact on personality traits such as neuroticism and coworker relationships, as well as sincerity, affinity, and extroversion, which had a major impact on achievement loss.
Conclusions As a result, efforts should be made to aggressively assist daycare teachers with aspects that are prone to burnout among the teacher's personality features, and diverse program support is needed not only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teachers to have a mutual inter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4호 목차
- 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수법 연구 동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 인식에 관한 내용분석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학적 내용지식(TPACK)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 탐색
-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 대상 학습애플리케이션의 교육적 효과 연구
- 저작권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지역주민 리빙랩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성인 학습자 대상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 대학 졸업예정자의 희망, 진로적응성, 진로구성행동, 진로만족 간의 관계
-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 뉴스 인터뷰를 활용한 한국어 상대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
-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 근거이론을 활용한 학교 전문상담사의 놀이중심 집단상담 경험 분석
- 영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발달과 근무환경 군집에 따른 개인적 변인과 교사효능감의 차이
-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관련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교육성과에 관한 잠재계층 유형 및 영향요인
-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
- 중학교 영어 다독을 통한 학습자 수준별 읽기 전략 변화연구
- 부부갈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어머니와 유아교육 교수자가 엮어낸 그림책 육아 모임의 실현 과정 및 변화
-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과 동료 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5요인 성격특성의 매개 효과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간호 전문직관 및 진로정체감
- 토론역할극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부모면담 활동에서 본 부모 면담역량의 변화
-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또래 중심 생태 미술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공격성 완화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매개효과
-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상호사고 관점에서 화상 도구 기반 실시간 독서 토론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 분석
- 대학입시의 AI 면접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발문 유형 분석
-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건강신념모델(HBM)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의 구강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 실용통계와 대학 기초통계학과의 수직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블랜디드 러닝 기반 재난현장 중증도 분류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효과적인 예비상담자 다문화상담 교육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개 지역 남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 평생 문식성 관점에서의 문법 교육의 방향
- 대학생의 지연동기와 대인관계문제
-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업무 과부하, 급여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 메이커교육에서 TB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 메타버스 활용 영어 말하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미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청소년의 음란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현장연구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 실습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우울,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직무자율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도적 경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요구분석을 통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고전문학사> 수업 내용 설계와 개선 방안
-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제1형 당뇨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행위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특수체육 전공 교사의 행위 주체성(Teacher Agency) 탐색
-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을 위한 전략적 탐색
-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 중국의 2022년 개정 초⋅중학교 교육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