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2022년 개정 초⋅중학교 교육과정 탐구
이용수 252
- 영문명
- Exploring the China's 2022 revis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숙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609~61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중국의 초⋅중학교 2022년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의 절차 및 총론과 교과, 비교과 등 각론 공통의 개정 내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중국에서 최근 개정된 초중등학교 국가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문서와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분석 항목으로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의 개정 절차,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 교육목표 설정, 편제의 구성, 총론-교과의 관계, 문서체제 등을 설정하였다.
결과 중국의 국가 교육과정은 첫째, 유치원, 초⋅중학교, 고등학교의 3개 학교급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총론과 각론이 동시에 개정되고,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주기는 학교급별로 10년 정도의 긴 개정 주기를 거친다. 둘째, 개정 취지는 사회주의 국가 사상의 강조, 미래사회 대비 교육 개혁을 위한 핵심 역량 중심, 문제 해결과 교육개혁을 위한 교육과정으로의 개선이다. 교육목표는 ‘시대가 요구하는 이상이 있고, 능력이 있고, 책임감이 있는 새로운 인간’ 육성이다.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와 비교과로 구성되며, 6-3제 학제를 5-4제로도 운영하고 지역, 학교의 자율성을 허용하며, 의무교육 9년간 2개 학교급간 교육의 일체화 및 학교급간 학년간 연계를 강화하였다. 교과 교육과정은 핵심 소양과 이에 기반한 성취기준, 질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과정 문서 체제에서는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공히 교육과정 개정의 원칙과 방향이 전반부에 강조되고 가독성이 높게 진술되어 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교육과정 개정 주기의 10년 정도의 안정성, 학교급별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연계 및 독자성의 동시 추구, 총론에서 국가-지역-학교 역할에 대한 안내, 교과 공통의 교육과정 설계와 교수학습과정, 평가, 운영의 원칙을 비교적 명료하게 제시하고 있는 점, 교과별 시수의 학교 자율성 제고 측면, 종합실천활동의 질 제고 방안 등을 우리나라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f China's national level curriculum revision, focusing on the general framework of the 2022 revision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Korean curriculum.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documents and related prior research and government policy data of China's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Goal setting, curriculum organization structure, common guidelines for subject curriculum quality control, framework document system, etc.
Results First, the Chinese national curriculum is divided into three school-level curriculums: kindergarten, compulsory education schools, and high school. China's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cycle went through a long revision cycle of about 10 years for each school level. Second, the purpose of the revision is to emphasize the socialist state idea, to focus on core competencies for education reform in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and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problem solving and educational reform. The educational goal is ‘a new human being with the ideal, ability, and responsibility required by the times’. In the curriculum organization, the 6-3 system was operated as a 5-4 system, allowing autonomy in the role of the region and school, and the integration of education between the two school levels for 9 years of compulsory education and the linkage between school levels were strengthened. Curriculum suggested key competencies, achievement standards and quality management plans based on them. In the curriculum document system, the principles and directions of curriculum revision are emphasized in the first half of both the general curriculum and each section, and the readability is clearly stated.
Conclusions Implications include the stability of the Chinese curriculum revision cycle for about 10 years, the linkage of curriculum by school level and curriculum and the pursuit of independence at the same time, guidance on the role of the nation-local-school in designing and teaching the subjects. The principles of the learning process, evaluation, and operation are presented relatively clearly.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학제와 학교급별 교육과정 개정 절차
Ⅲ. 중국 2022년 개정 초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
Ⅳ. 중국의 2022년 개정 초⋅중학교 교육과정이 주는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4호 목차
- 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수법 연구 동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 인식에 관한 내용분석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학적 내용지식(TPACK)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 탐색
-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 대상 학습애플리케이션의 교육적 효과 연구
- 저작권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지역주민 리빙랩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성인 학습자 대상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 대학 졸업예정자의 희망, 진로적응성, 진로구성행동, 진로만족 간의 관계
-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 뉴스 인터뷰를 활용한 한국어 상대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
-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 근거이론을 활용한 학교 전문상담사의 놀이중심 집단상담 경험 분석
- 영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발달과 근무환경 군집에 따른 개인적 변인과 교사효능감의 차이
-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관련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교육성과에 관한 잠재계층 유형 및 영향요인
-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
- 중학교 영어 다독을 통한 학습자 수준별 읽기 전략 변화연구
- 부부갈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어머니와 유아교육 교수자가 엮어낸 그림책 육아 모임의 실현 과정 및 변화
-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과 동료 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5요인 성격특성의 매개 효과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간호 전문직관 및 진로정체감
- 토론역할극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부모면담 활동에서 본 부모 면담역량의 변화
-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또래 중심 생태 미술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공격성 완화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매개효과
-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상호사고 관점에서 화상 도구 기반 실시간 독서 토론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 분석
- 대학입시의 AI 면접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발문 유형 분석
-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건강신념모델(HBM)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의 구강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 실용통계와 대학 기초통계학과의 수직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블랜디드 러닝 기반 재난현장 중증도 분류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효과적인 예비상담자 다문화상담 교육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개 지역 남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 평생 문식성 관점에서의 문법 교육의 방향
- 대학생의 지연동기와 대인관계문제
-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업무 과부하, 급여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 메이커교육에서 TB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 메타버스 활용 영어 말하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미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청소년의 음란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현장연구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 실습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우울,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직무자율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도적 경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요구분석을 통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고전문학사> 수업 내용 설계와 개선 방안
-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제1형 당뇨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행위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특수체육 전공 교사의 행위 주체성(Teacher Agency) 탐색
-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을 위한 전략적 탐색
-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 중국의 2022년 개정 초⋅중학교 교육과정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 1정 연수가 저경력 교사의 교직 수행에 미치는 효과
-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일반대학원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하는 교사, 가르치는 연구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