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01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구현주 문혁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1099~111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인들과의 관계 및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 효능감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으며, 변인들 간 관계 파악을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각 변인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들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진로결정 자율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토대로 진로결정 상황에 놓인 대학생들에게 진로결정과 관련하여 당면한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결론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하여 사회적 지지를 지각하고. 진로결정 자율성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 autonom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variabl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thods For this study, 285 college students at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The collected data wer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22.0, and a 3-step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by Baron and Kenny (1986)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Results First,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all the variables. Second, the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had an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Third, i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ased on the above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college students in career decision-making situations need confidence to feel that they can successfully solve the challenges facing career decision-making.
Conclusions Perceiving social support to enhanc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to promote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4호 목차
- 대학의 학습자 중심 교수법 연구 동향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셰어런팅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연구
- 보육교사의 영유아권리 인식에 관한 내용분석연구
- 테크놀로지 활용 교수학적 내용지식(TPACK)에 대한 국제 연구 동향 탐색
- COVID-19 팬데믹 상황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
- 아버지의 부모역할신념이 아버지-유아 놀이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 대상 학습애플리케이션의 교육적 효과 연구
- 저작권 기본 소양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지역주민 리빙랩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 성인 학습자 대상 프로젝트기반학습에 대한 체계적 문헌분석
- 대학 졸업예정자의 희망, 진로적응성, 진로구성행동, 진로만족 간의 관계
- 도덕과교육에서 동물윤리교육의 중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 뉴스 인터뷰를 활용한 한국어 상대 높임법 교육 방안 연구
-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 근거이론을 활용한 학교 전문상담사의 놀이중심 집단상담 경험 분석
- 영아보육교사가 지각한 전문성발달과 근무환경 군집에 따른 개인적 변인과 교사효능감의 차이
-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진로관련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고등학생의 교육성과에 관한 잠재계층 유형 및 영향요인
-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가 발달지연 아동의 문제행동과 적응행동에 미치는 효과
- 고등학생의 행동활성화/행동억제체계와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과 우울의 매개효과
- 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율성의 매개효과
- 중학교 영어 다독을 통한 학습자 수준별 읽기 전략 변화연구
- 부부갈등이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 여고생의 학교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 어머니와 유아교육 교수자가 엮어낸 그림책 육아 모임의 실현 과정 및 변화
- 보육교사의 성격 5요인과 동료 관계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5요인 성격특성의 매개 효과
-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과 간호 전문직관 및 진로정체감
- 토론역할극을 활용한 보육교사의 부모면담 활동에서 본 부모 면담역량의 변화
-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 또래 중심 생태 미술 활동이 지적장애 학생의 공격성 완화에 미치는 효과
-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의 순차매개효과
- 영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요구
- 상호사고 관점에서 화상 도구 기반 실시간 독서 토론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 분석
- 대학입시의 AI 면접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연구
-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과제의 인지적 노력 수준과 발문 유형 분석
-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건강신념모델(HBM)을 적용한 유아교육기관의 구강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 수업컨설팅에 대한 연구동향분석
- 실용통계와 대학 기초통계학과의 수직적 연계성에 관한 연구
- 블랜디드 러닝 기반 재난현장 중증도 분류 교육 프로그램 적용 및 평가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계획된 우연기술이 고용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 효과적인 예비상담자 다문화상담 교육방안을 위한 질적연구
- 간호대학생의 자기수용, 타인수용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개 지역 남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마트폰 과의존, 대인관계역량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Pre-service English Teachers’ Beliefs about English Language Learning
- 평생 문식성 관점에서의 문법 교육의 방향
- 대학생의 지연동기와 대인관계문제
- 보육교사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업무 과부하, 급여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 이론 기반 진로동기 유형 분류 및 유형에 따른 진로적응성과 취업소진의 차이
- 메이커교육에서 TBMSI 모형의 가능성 탐색
- 메타버스 활용 영어 말하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빅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미래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 청소년의 음란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 ‘현장연구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 실습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우울, 스마트폰 의존도의 종단적 관계 분석
- 직무자율성과 직업적 자기효능감 및 주도적 경력행동 간의 관계에서 개인-환경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 요구분석을 통한 외국인 학부생 대상 <고전문학사> 수업 내용 설계와 개선 방안
- 보건교사의 제1형 당뇨 관리 교원연수 프로그램이 제1형 당뇨관리 지식, 자기효능감, 행위 역량에 미치는 효과
- 특수체육 전공 교사의 행위 주체성(Teacher Agency) 탐색
-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을 위한 전략적 탐색
-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탐색과 초등학교 민속놀이 활성화 방안
- 중국의 2022년 개정 초⋅중학교 교육과정 탐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