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연구

이용수 163

영문명
A study on a model of the achievement-standard stat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focusing on the subject of English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한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671~68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성취기준 진술 방식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교 현장의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을 개발한다. 방법 본 성취기준 진술 모형은 교과교육 관점에서 기존 성취기준의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를 각각 상세화하여 내용 요소는 ‘학습내용’과 ‘학습맥락’으로 세분하고, 행동 요소는 최종 ‘목표능력’과 그러한 능력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수업 활동을 의미하는 ‘수행행동,’ 그리고 그러한 수행에 필요한 조건과 기준을 의미하는 ‘수행조건/도달기준’으로 세분하여 총 다섯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결과 본 모형은 이러한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2015 영어과 성취기준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공통과목과 선택과목을 포함하는 영어과 전체 성취기준이다. 결론 본 모형은 체계적인 성취기준 틀을 제시하여 영어과 성취기준을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고, 내용의 애매성 혹은 중복성이나 행동의 명료성 혹은 단일성 등의 진술 방식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였으며, 미래 역량교육의 취지에 타당한 새로운 성취기준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방법적인 틀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s a model of the achievement-standard stat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ith the existing way of stat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reflect the changes and demands in the current school education. Methods This model is composed of five constructs from the perspective of subject-matter education, by specifying content standards into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context’ and performance standards into ‘performance action’ that means instructional activities needed to reach ‘target ability’ as the terminal behavior and ‘performance condition/target criteria’ necessary for such performance. Results Based on these constructs, this model systematically analyzed the 2015 English language achievement standards. The target for analysis is the overall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nglish subject, including common and optional subjects. Conclusions The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English language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is model and presents solutions to the problems with the statement, such as ambiguity, redundancy, clarity, or unity.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s a methodological framework necessary to develop new achievement standards appropriate for competency education in school.

목차

Ⅰ. 서론: 성취기준 연구의 필요성
Ⅱ. 교육목표 진술 이론
Ⅲ.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개발
Ⅳ. 2015 영어과 성취기준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한. (2022).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4), 671-688

MLA

김경한. "교과교육 관점의 성취기준 진술 모형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2022): 671-6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