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15

영문명
The Effect o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n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A Case Study on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Gir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소연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465~48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서울시 소재 여중생 89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3개월 간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신장을 목적으로 하는 역량기반 수행평가와 단순 음악지식 및 기능 숙달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를 개발하여 실시하였다. 각 집단의 사전, 사후 수행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표본 t검증과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수준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유형별 수행평가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보다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의 사후 총 점수가 .298점 높았다. 역량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개별 역량의 모든 하위요인 및 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 집단은 일부 하위요인 및 문항들에서 소폭의 점수 향상을 보였다. 각 수행평가 점수를 독립변인으로,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두고 상관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한 결과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음악적 소통 역량의 감상력과 응용력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다. 반면, 기능기반 수행평가는 두 역량의 인지적 측면과 관련된 이해력과 음악지식을 높이는 영향 요인으로 나왔다. 결론 역량기반 수행평가는 기존의 전통적 방식을 따르는 기능기반 수행평가보다 목표 역량 신장에 있어서 효과적이었다. 실생활 맥락의 과제, 지식과 기능을 적용하고 활용하는 능력 평가, 정의적 영역의 평가, 체계적인 과정 중심 평가를 적용하여 역량기반 수행평가를 실시한다면 실제 음악적 역량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on musical emo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ies. Methods 89 middle school girls in Seoul were classified into a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and a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They performed each performance assessment for 3 months. And then independent t-test and pre-post t-test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improvement level of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Finally, correlat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 score o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musical emotion⋅communication competency. Results The total score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as more than the total score of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It was .298 points higher. All sub-factors and most of questions of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were improved than before.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group showed a slight improvement in the score of sub-factors and some question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factor influencing the appreciation and application factors of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y. On the other hand,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found to be a influencing factor of the understanding and musical knowledge factors that related to the cognitive aspects of musical emotion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Conclusions The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e skill-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n improving the target competency. If competency-based performance assessment is carried out by real-life tasks, ability evaluation to apply and utilize knowledge and functions, affective domain evaluation, and process-focused evaluation, actual competency can be enhanc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소연. (2022).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4), 465-487

MLA

김소연. "역량기반 수행평가가 음악적 감성⋅소통 역량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2022): 465-4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