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이용수 46

영문명
Korean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in China Related to the Sexual Health of Third-Culture Ki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양정운 이지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4호, 1113~1123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해외(중국)에 거주하는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중국에서 자녀를 양육하는 한국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양육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질적 연구를 하였다. 개별 면담한 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는데, 의미 있게 도출된 단어나 어구의 유사한 내용으로 상호 연관성에 맞게 범주화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평균 연령은 45세이며, 중국에 거주한 평균 기간은 약 5년이었다. 개별 면담 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성 건강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경험은 3개의 범주와 7개의 하위 범주로 도출되었다. 첫 번째 범주는 「자녀의 성 건강과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 경험」이며, 하위 범주로 ‘국제학교 재학에 따른 제한된 경험’, ‘다양한 문화와 인종 사이에서 개방된 성문화를 접함’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범주는 「우려스러운 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대처」이며 이에 따른 하위 범주는 ‘성 건강 관련 대화 회피’, ‘관련 교육자료(도서, 동영상 등) 제공’이다. 세 번째 범주는 「자녀의 성 건강에 대한 어머니의 교육 요구」이고, 하위 범주는 ‘자녀의 성교육에 대한 정보 부재’, ‘모국어로 진행되는 성 건강교육 요구’, ‘전문가를 통한 실제적인 성교육 요구’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제3문화 아이들이 성 정체성을 건강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성교육이 필요하며,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Korean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related to the sexual health of youth from Third-culture kids in China.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 of 10 Korean mothers’ raising youth in China, and the data from individual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individual interviews, mother’s parenting experiences related to sexual health were derived into 3 categories and 7 sub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Mothers’ parenting experience their youth's sexual health」, and as subcategories, “Limited experience of attending an international school” and “Experience open sexual culture among various cultures and races” were derived. The second category is 「Mothers’ coping skill with concerned behavior」, and the subcategories are “Avoiding sexual health-related conversations” and “Providing related educational materials (books, videos, etc.)”. The third category is 「Mothers' educational needs for their youth's sexual health」, and the subcategories are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ir youth's sex education’, ‘Necessity of sexual health education in their native language’ and ‘Requirements for practical sexual education needs through the experts. Conclusions From these research results, practical sexual education is necessary so that third-cultural kids can form a healthy gender identity, and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elated educational programs is suggested as a follow-up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정운,이지현. (2022).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4), 1113-1123

MLA

양정운,이지현.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의 성 건강과 관련된 중국 내 한국 어머니의 양육 경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4(2022): 1113-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