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튜브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이용수 1159

영문명
Social Network Analysis on Digital Literacy using Youtube Big Data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환(Kim YoungHwan) 김우경(Kim Wooky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351~36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유튜브 빅데이터를 소셜 네트워크 분석하여 유튜브 이용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탐색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검색어로 2016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유튜브 동영상 1,778개와 댓글 8,536개를 수집한 후 11,370개의 출현 단어 중 1,194개를 키워드로 추출하였다. 여기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고, 핵심 키워드의 연결 중심성과 토픽 클러스터링을 알아보기 위해 NetMiner4 소프트웨어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1) 빈도수가 가장 높은 키워드는 ‘교육’(2,265회 출현)이며, 다음으로 ‘디지털’, ‘영상’, ‘기술’, ‘미디어’가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2) 연결 중심성이 가장 높은 키워드 역시 ‘교육’이고, ‘디지털’, ‘미디어’, ‘기술’이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고, 빈도수가 높은 키워드가 연결 중심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토픽 모델링 결과 ‘교육’, ‘수업’, ‘유튜브’, ‘학교’, ‘미래’를 키워드로 한 토픽의 동영상이 가장 많이(505편) 제작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더 많은 국내외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다양한 관점에 의한 후속연구 및 유투브 빅데이터에 나타나는 디지털 리터러시 문제의 극복을 위한 방안의 탐색도 요청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ody of data on digital literacy gathered through YouTube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to explore the interests and perceptions of YouTube users on digital literacy and to suggest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Methods For the social network analysis, researchers have collected 1,778 YouTube videos and 8,536 comments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20, using ‘digital literacy’ as a search term on YouTube, and 1,194 of 11,370 appeared word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s keywords. Then network analysis, centrality degree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NetMiner4 to extract key words and to analyze the connection centrality and topic clustering of the core keywords.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s ‘education’ appeared 2,265 times), followed by ‘digital’, ‘video’, ‘technology’, and ‘media’. 2) the keyword with the highest centrality degree was also ‘education’. ‘Digital’, ‘media’, and ‘technology’ showed high centrality degree, and it was confirmed that keywords with high frequency had high centrality degree. 3)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the largest portion of videos(505 videos) were produced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opic with the keywords ‘education’, ‘class’, ‘YouTube’, ‘school’, and ‘future’. Conclusions In order to ensure objectivit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studies based on mo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ata were proposed from diverse perspectives, and the research for ways to overcome the digital literacy problems appearing in YouTube big data are also requ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절차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환(Kim YoungHwan),김우경(Kim Wookyeong). (2021).유튜브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8), 351-361

MLA

김영환(Kim YoungHwan),김우경(Kim Wookyeong). "유튜브 빅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2021): 351-3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