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nline L2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glish Learning Outcomes

이용수 155

영문명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피근욱(Pi, JinYu)(皮謹煜) 고흥(Kou, He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869~88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정보 기술의 발전과 COVID-19의 영향으로 온라인 교육 및 혼합 교육이 대학의 다양한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대학생의 온라인 L2자기조절학습 상태와 L2 자기조절과 영어 숙련도 수준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영어 전공자의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영어 자기조절학습의 현황과 영어 학습 효과와의 관계를 정량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이 연구에서 선택한 두 클래스의 대조군과 실험 클래스의 비율은 각각 51%와 49%이다. 본 연구의 연구원은 네트워크 환경에서 영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기술 (skill)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처음 사용하였다. 실험 전 두 반의 실력은 비슷했다. 교사는 학습자가 온라인으로 가르치는 동안 학습 목표, 접근 방식 및 성찰 측면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및 기술(skill)에 효과적으로 개입하였다. 3개월 간의 실험을 한 후, L2 SRL과 두 수업 간의 영어 시험 점수를 다시 비교하였다. 결과 Paried sample t test를 수행함으로써 실험 클래스의 결과는 22.2점 증가했으며, 해당 테스트 유의성 p는 .000(<.05)로 영어 테스트의 성취도가 크게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새로운 교육 모델의 각 변수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각 전략과 영어 실적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으며(p<.05) 해당 상관계수는 .352~.704이었다. 회귀 방정식은 전체 변동의 84.9% (Adj. R²)를 설명하여 모델이 적합하고, 해당 분산 F값의 분석이 45.183으로 매우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함을 의미 하였다(p<.05). 목표 설정, 환경 구축, 작업실행(task) 전략(strategies), 시간 관리 전략, 도움(help seeking) 전략 및 자기 평가는 영어 능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p<.05), 표준 회귀 계수는 각각 .234, .346, .299, .228, .266, .249이었다. 결론 위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생들의 L2 SRL 전략과 기술은 영어 시험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사의 도움과 학생들의 목표 설정, 환경 구조화, 작업 전략, 시간 관리, 도움 추구 및 자기 평가에 대한 개입을 통해 L2 SRL은 향상되었다. 결과적으로 영어 결과도 향상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mpact of COVID-19, online teaching and blended teaching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cours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order to explore the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s’ online L2 Self-regulated lear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2 Self-Regulation and English Proficiency Level. The study uses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English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of non-English major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effect of English learning. Methods The proportions of the control class and the experimental class of the two class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51% and 49% respectively. The researcher first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kills of college students in the process of learning English courses in the network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students’ English level were tested by the standardized English test. Before the experiment, the English levels of the two classes are equivalent. Then, teachers effectively intervene learners’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skills in terms of learning objectives, approaches and reflections while they teaching online. After one three-month experiments, L2 SRL and scores of the English test of the two classes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again. Results By conducting the paried sample t te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class have increased by 22.27 points, and the corresponding test significance p is .000(<.05), which means it h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chievement of the English test with the new teaching model.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s,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strategy and English performance (p<.05), and the corresponding correlation coefficient is between .352-.704. The regression equation can explain 84.9% (Adjusted R²)of the total variation, implying the model fits well, and the corresponding analysis of variance F value is 45.183, reaching a very significant level (p<.05). Goal setting, environment construction, task execution strategies, time management strategies, help seeking strategies, and self-evalua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nglish proficiency (p<.05), the standard regression coefficients are .234, .346, .299, .228, .266, .249, respectively. Conclusions As the results above shown that under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tudents’ L2 SRL strategies and skills are significant to the results of the English test. Through the teachers’ help and intervene to students goal setting, environment structuring, task strategies, time management, help seeking and self-evaluation, students L2 SRL has improved. Consequently, English outcomes has improved as well.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ology
Ⅳ. Result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피근욱(Pi, JinYu)(皮謹煜),고흥(Kou, Heung). (2021).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nline L2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glish Learning Outcome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8), 869-882

MLA

피근욱(Pi, JinYu)(皮謹煜),고흥(Kou, Heung). "An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Online L2 Self-Regulated Learning and English Learning Outcome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2021): 869-8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