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92

영문명
The Effect of Clinical Nurses’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on Resilien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황혜정(Hwang Hye Je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679~69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자료수집은 2021년 1월 01일부터 1월 15일까지 P 시에 3개 병원의 임상간호사 19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자료를 서술적 분석,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셀프리더십은 5점만점에 3.42점, 스트레스 대처유형은 4점만점에 2.67점, 회복탄력성은 5점 만점에 3.25점이 나왔다. 임상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유형은 직위, 4년제 졸업이상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회복탄력성은 종교, 병원경력, 직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복탄력성은 셀프리더십(r=.687, p<.001)과 스트레스 대처유형(r=.471,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높을수록 회복탄력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셀프리더십(β=.589, p<.001), 스트레스 대처유형(β=.182, p<.01)은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을 향상시켜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on resilience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y a survey of 197 clinical nurses in 3 hospitals located at P City from January 21 to January 15, 2021. The data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through th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core on self-leadership was 3.42 out of full score of 5 and that the score on stress-coping type was 2.67 out of the full score of 4, while the score on resilience was 3.25 out of the full score of 5. The stress-coping type of clinical nurses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post and diploma from 4-year university or higher level.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religion, hospital career, and post. Moreover, the resilie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lf-leadership r=.687, p<.001) and stress-coping type(r=.471, p<.001). The resilience was found to be higher as the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were higher. The self-leadership(β=.589, p<.001) and stress-coping type(β=.182, p<.01) had an influence on the resilience. Conclus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the programs capable of increasing the resilience by improving the self-leadership and stress-coping type of clinical nur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혜정(Hwang Hye Jeong). (2021).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8), 679-691

MLA

황혜정(Hwang Hye Jeong). "임상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스트레스 대처유형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2021): 679-6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