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놀이 공간 이용실태 및 인식 분석

이용수 326

영문명
Usage Status and Perceptio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lay Spac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남미(Nam mi) 권동택(Kwon, Dongtai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951~96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현재 초등학교 내 놀이 공간의 현황 및 아동의 이용실태와 만족도, 요구를 파악하여 공간의 주체자인 초등학령기 아동의 학교 내 놀이 공간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다. 방법 4~6학년 초등학생 419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교를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만족도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요구 분석을 위한 개방형 문항은 연구자가 1차 분류 후, 초등교사 5명의 검수를 거쳐 최종 분석하였다. 결과 초등학생 59.9%의 학교 놀이 시간은 30분미만이며, 66.1%가 교실에서 놀이 시간을 보냈다. 실내 놀이 공간은 밖에 나갈 시간이 부족해서 선택한 반면, 실외는 마음껏 뛰어 놀 수 있어서라고 응답했다. 놀이 유형 역시 실내에 비해 실외 놀이 공간이 다양하고 활동적이었다. 놀이 공간 이용의 불편 사항은 62.5%가 놀이 시간의 부족으로 답하여 초등학교 내 놀이 공간을 아동이 충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학교 내 놀이 공간의 만족도는 남학생(M=3.44), 여학생(M=3.60)으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놀이공간의 다양성, 충분성, 평등성, 자율성 등이 학교 놀이 공간에 바라는 점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초등학교 놀이 공간의 실제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초등학교 내 이미 갖추어진 놀이 공간을 아동이 충분히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간 운영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아동의 놀 권리 보전을 위해 아동중심의 놀이 공간에의 접근을 통한 놀이 공간 활성화의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play space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the main actors of the space, by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e of play spac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usage, satisfaction, and needs of children. Methods The survey results of 419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s 4-6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for comparis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For satisfaction analysis, two-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Lastly, the open questions for analysis of needs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first classification, and revised and supplemented reflecting the opinions of 5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ults 59.9% of students spent less than 30 minutes playing at school, and 66.1% of them spent playing time in the classroom. They answered that they chose, while an indoor play space because they did n’t have enough time to go outside, they answered outdoors play space because that they could run and play as much as they wanted. In terms of play types, outdoor play spaces were more diverse and active than indoor ones. As for the inconvenience of using play space, 62.5% answered lack of play time. It seems important to allow children to use the play space in the elementary school sufficiently when organizing the play space. Satisfaction with the current play space in the school was lower for male students (M=3.44) than female students (M=3.60),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diversity, sufficiency, equality, and autonomy were identified as desired for the school play space. Conclusions For a practical change in the elementary school play spac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space management so that children can fully use the play space already provided in the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in order to preserve children s right to pla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play spaces through changes in access to child-centered play spaces.

목차

Ⅰ. 서론
Ⅱ. 아동의 놀 권리로서 초등학교 놀이 공간의 의미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미(Nam mi),권동택(Kwon, Dongtaik). (2021).초등학교 놀이 공간 이용실태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8), 951-966

MLA

남미(Nam mi),권동택(Kwon, Dongtaik). "초등학교 놀이 공간 이용실태 및 인식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2021): 951-9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