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교양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이용수 521

영문명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in the Context of COVID-19 : Based on the Experiences of the Professors in Charge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인(Park, Jung-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389~403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발생이후 대학의 교양수업이 대면수업에서 비대면수업으로 전면 전환되는 과정 속에서 교수자들의 수업유형과 평가방법 등의 사례가 어떠한 추이로 변화했는지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자는 수도권 소재 A대학교의 교양교과목 담당 교⋅강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설문지는 수업유형, 평가방법, 코로나19이후 강의운영 방향에 관해 5점 척도 및 주관식 문항으로 개발했고, 조사기간은 2020학년도 2학기 성적공시와 정정이 모두 끝난 시점부터 25일 간 Google 포털 설문을 통해 진행했다. 결과 첫째, 대면수업에서 비대면수업으로 전환 된 이후부터 발표와 토론 수업유형은 계속해서 감소추이를 보였다. 둘째, 비대면수업의 전면적 시행은 지필중심의 평가방법을 과제중심으로 변화시켰고, 수시평가의 형태로 보충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비대면수업 이후 교수자들은 대면수업보다는 비대면수업을 선호하지만, 병행수업에 대해서는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팬더믹 상황과 급작스러운 비대면수업으로의 전환이라는 상황에서 진행 된 만큼 연구결과나 제언적 측면의 한계를 안고 있다. 그러나 향후 비대면수업이 새로운 교육체제로 안착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금번 연구를 통해 향후 교양교과목의 설계나 개발, 운영적 측면에 있어 실제적인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in the case of professors class types and evaluation methods in the process of completely converting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from face-to-face classes to non-face-to-face classes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Methods To this end,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eachers and instructors in charge of liberal arts subjects at University A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5 point Likert scale and subjective questions regarding the class type, evaluation method, and course operation direction after COVID-19. The survey period was conducted through a Google survey for 25 days at the end of the announcement and correction of grades for the 2nd semester of 2020. Results First, since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classes to non-face-to-face classes, the types of presentation and discussion classes continued to decrease. Second, the full implementa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changed the method of essay-oriented evaluation to task-oriented evaluation and was supplemented in the form of occasional evaluation. Third, after non-face-to-face classes, professors prefer non-face-to-face classes to face-to-face classes, but are passive about parallel classes. Conclusion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as it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a pandemic and a sudden transition to non-face-to-face classes. However, as non-face-to-face classes are highly likely to be established as a new educational system in the fu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increase practical effectiveness in the design,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liberal arts subject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인(Park, Jung-in). (2021).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교양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8), 389-403

MLA

박정인(Park, Jung-in). "코로나19 상황에서의 대학 교양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2021): 389-4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