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reak’ 의의 이해의 어려움

이용수 51

영문명
L2 Learner Difficulties in Making Sense of break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혜정(Hyechong Park)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8호, 737~75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한국어가 모국어(L1)인 대학생들이 영어(L2) 다의어인 break 내의 의의(intraword senses)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을 어휘전이의 관점에서 조사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 대학생 78명이 14개 계층화된 break 의의가 포함된 문장을 L1으로 번역한 뒤에 영어와 한국어 간 의의 매핑(interlingual sense mapping)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그리고, 번역 시 어려웠던 의의와 해당 의의 이해의 과정 및 번역 활동에서 깨달은 점을 기술하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결과 발견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L2 머릿속사전은 중심의의에 고착화된 경향이 나타나서 연구참가자들은 중심의의에서 언어거리가 먼 L2 주변의의 이해에 어려움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영어와 한국어 간에 지각된 공통 주변의의(perceived language-neutral peripheral sense)는 언어 간 유사한 의미확장으로 참가자들이 L2 의의 이해에 어려움을 인식하지 않았다. 셋째, 영어에만 존재하는 주변의의(L2-specific peripheral sense)는 영어의 특성에 근거하여 형성되는데 대비하여, 연구참가자의 추론은 모국어에 근거하여 의미확장이 이루어져서 의의 이해에 어려움이 있었다. 결론 지속되는 L1의 의미 결속력을 보여주는 본 연구 결과는 중심의의를 이용하여 문맥상에서 추론하는 L2 다의어 교수법은 모국어의 긍정전이 효과로 ‘L1-L2 간 지각된 공통의의’ 학습에 유효함을 시사한다. 반면, ‘L2에만 존재하는 의의’는 언어 특질적인 특성이므로 새로운 L2 의의를 문맥상에서 이해하고 자동화된 산출을 할 수 있는 연습 활동이 추천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Using the viewpoint of lexical transfer, this study examines what causes Korean(L1) undergraduate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intraword senses of the English(L2) word, break.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seventy-eight undergraduate students living in Pusan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based research. They translated 14 sentences including different senses of break into their L1, listened to the researcher lecture regarding L1-L2 sense mapping of break, and completed a questionnaire asking difficult senses of translati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ose senses, and what they realized through the translation activity. Results There exist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L2 mental lexicon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ended to be fossilized in regards to the core sense of break, so they tended to have difficulties in making sense of L2 peripheral senses that are far from the core sense in terms of language distance. Second, they did not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perceived language-neutral peripheral senses because the meaning extension of L1 and L2 is formed in a similar way and they used their L1 as a mediation tool of meaning extension. Third, they ha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language-specific peripheral senses, which exist only in English, because L2-specific meaning extension is formed by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nglish whereas research participants’ inference for the meaning extension was grounded in their L1. Conclusions Due to the persistent binding power of L1 in mental lexic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opular teaching method on L2 polysemy using core sense-based inference from the context is only valid for the perceived language-neutral peripheral senses.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get learners to internalize the novel L2-specific peripheral senses, instead of inference, learners’ exposure to contextualized L2 polysemy expression and rehearsing of such in order to automatically produce same is strongly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토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혜정(Hyechong Park). (2021).‘break’ 의의 이해의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8), 737-754

MLA

박혜정(Hyechong Park). "‘break’ 의의 이해의 어려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8(2021): 737-7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