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 내 학습자의 미술창작 및 관람 경험이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6

영문명
The Effect of learners art creation and viewing experience on desire for achievement: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hink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수정(Kwon soo jeong) 박명선(Park myung s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21호, 193~20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1.15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조직 내 학습자들의 미술창작 및 관람 경험이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관계 속에서 창의적 사고와 심리적 안정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과 경기권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체를 다니는 직장인 35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을 통해 2021년 2월 1일부터 5월 28일까지 총 117일간 최종적으로 수집된 자료 317부를 바탕으로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미술창작 및 관람 경험, 창의적 사고, 심리적 안정, 성취욕구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수들은 상호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둘째, 미술창작 및 관람경험이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창작경험과 관람경험 모두 조직 내 성인학습자들의 성취욕구 향상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창작경험이 관람경험보다 성취욕구의 향상에 더욱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미술창작 및 관람경험이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 속에서 창의적 사고와 심리적 안정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창의적 사고와 심리적 안정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오늘날과 같이 점차 다변화되고 복잡화되는 현대 사회의 조직 환경 속에서 미술활동으로 대변되는 문화예술 경험은 기업의 핵심인재들을 육성하기 위한 원천적인 동력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현대 사회의 조직 내에 속한 다양한 성인학습자들을 위해 오늘날의 기업과 조직들은 타 기관의 문화예술활동을 지원하는 메세나 활동 외에도 조직 구성원들의 복지 차원과 역량계발의 차원에서 다양한 미술활동 경험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creation and viewing experiences of adult learners within an organization on their desire for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think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in these influence relationships. Methods 350 office workers from compan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based on 317 copies of data finally collected for a total of 117 days from February 1 to May 28, 2021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art creation and viewing experience, creative think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desire for achievement, all variabl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art creation and viewing experience on desire for achievement, both creative experience and viewing exper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desire for achievement of adult learners in the organization. This viewing experience had a stronger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desire for achievement than the viewing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e think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mong the effects of art creation and viewing experience on desire for achievement, both creative thinking and psychological stabil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s. Conclusions In today s increasingly diversified and complex organizational environment,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represented by art activities, were acting as a fundamental driving force for nurturing key talents of compan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for various adult learners within the organization of modern society, today s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o improve the welfare of members and help develop their capabilities, in addition to the Mecenat activities that support the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of other institutions. So, Artistic experience should b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수정(Kwon soo jeong),박명선(Park myung sun). (2021).조직 내 학습자의 미술창작 및 관람 경험이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21), 193-204

MLA

권수정(Kwon soo jeong),박명선(Park myung sun). "조직 내 학습자의 미술창작 및 관람 경험이 성취욕구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21(2021): 193-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