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중기 무인시조에 발현된 심상공간과 그 의미

이용수 169

영문명
Warrior Sijo s Mental Space Expressed in the Mid-Joseon Period and Its Meaning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하성운(Ha SeongWo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7호, 427~44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중기 무인시조에 발현된 심상공간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 글이다. 조선중기 무인시조가 지닌 전란이라는 시대적 상황과 무인이라는 직분이라는 단일한 구조에서 벗어나 창작자의 입장에서 작품에 투영된 심상공간을 밝혀보고자 했다. 물론 심상 공간 역시 무인의 삶과 시대상황의 영향력을 벗어날 수는 없다. 그러나 시인이 작품을 창작할 때 지녔던 그들의 마음에 좀 더 가까워지고자 했다. 그들이 말하고자 하는 바와 그들이 추구하려던욕망, 더 나아가 의미행위적 측면에서 행위자가 투사하려던 심리에 초점을 두었다. 임란시기 무인시조는 자아의 처절한 심경을 담은 우국적 심상이 드러난 작품들이 많았다. 우국적 충절심 뒤에는功勳이라는 개인적 야심이나 무인적 자부심 표출이라는 욕망이 자리잡고 있었다. 현실정치에 대한 비판적 어조를함의하기도 했다. 작자들은 무인으로서 우국적 심상을 그리면서도 자신의 상황에 따른 심리를 다층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회상적 체험을 바탕으로 작품을 작시하는 경우가 있었다. 무인들은 분노와 좌절, 그리고 복수의 다짐이나 한탄의 정조 등 전란에서 느꼈던 감정을 시조에 담아냈다. 이러한 심정은 상징적 소재들을 통해 비유적으로표현되어 현재의 심적 태세와 결합하였다. 그들은 회상적 연출을 통해 국난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그럴 수 없는 현실 사이 고민의 흔적들을 작품에 투사하였다. 조선중기 무과급제자는 양반층으로, 시조를 창작한 이들은 대다수명문가 자제들이라는 것도 눈여겨볼 점이었다. 일부 문신명문가에서도 무인을 배출했고, 이들의 작품에서는 연군지정, 도학적 정신, 문무겸비 등 문인적 기풍이 드러난 심적 태세를 추구하기도 했다. 이상에서 우리는 조선중기 무인들이 작품에 투사하고자 했던 심상공간의 거시적 추이를 헤아려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시조를 창작한 무인들은 이 시기 무인들의 전반적인 심상을 대변하지 않는다. 극히 일부의 무인들만 작품창작을 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들은 명문가 자제라는 점도 고려해야 될 점이다. 따라서 시조를 창작할 수 있었던 인물들이 전란의 상황 속에서 무인이라는 직을 수행하면서 개인적 사회적인 각자의 처지에 따라 작시하였다는 점을 염두하여야 할 것이다. 시조뿐만 아니라 한시와 가사 등 다양한 장르를 모두 살펴야만 조선 중기 무인들의 전반적인 심상을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main text is a review of the meaning of the visual space expressed in the unmanned sijo during the mid-Jose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he tried to shed light on the image space projected on the work, breaking away from the situation of the era of war and the single structure of being a warrior. Of course, the visual space cannot escape the influence of the life and times of no man. However, he wanted to get closer to the poet’s mind when he created his work. The focus was on what they were trying to say, the desire they were trying to pursue, and, by extension, the psychology of the actor s projection in terms of semantic behavior. During the Imran period, there were many works that revealed the patriotic spirit of the self-desperate. Behind the patriotic loyalty, there was a desire to express personal ambition or unmanned pride. He also implied a critical tone of real politics. The writers expressed their feelings of patriotism as a warrior, but expressed their psychology in a multi-layered manner. There were also cases where works were written based on retrospective experiences. The fighters captured the emotions they felt in the war, such as anger, frustration, and commitment to revenge or lamentation. This feeling was figuratively expressed through symbolic materials and combined with the current mental state. Through retrospective production, they projected traces of agony between their willingness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and their inability to. It was also noteworthy that the no-class disciples of the mid-Joseon period were aristocrats, and that most of the people who created the sijo were children of prestigious families. Some tattooed prestigious families also produced unmanned men, and in their works, they pursued a mental attitude that revealed literary ethos such as the designation of a coalition army, a moral spirit, and a literary martial arts. From this point of view, we could consider the macroscopic trends of the mind and soul that the military fighters of the mid-Joseon period wanted to project into their works. However, the fighters who created the sijo do not represent the general image of the fighters at this time. This is because very few fighters have created work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at they are children of prestigious families.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haracters who were able to create the sijo were written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and social circumstances while performing the position of being unmanned in the midst of war. In addition to the sijo, various genres such as Chinese poetry and lyrics should be examined to learn the general feelings of the military fighters in the mid-Joseon Period.

목차

1. 머리말
2. 조선중기 무인시조의 존재양상
3. 무인시조에 발현된 심상공간과 그 의미
4. 맺음말-문학사적 의의와 함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성운(Ha SeongWoon). (2021).조선중기 무인시조에 발현된 심상공간과 그 의미. 문화와융합, 43 (7), 427-446

MLA

하성운(Ha SeongWoon). "조선중기 무인시조에 발현된 심상공간과 그 의미." 문화와융합, 43.7(2021): 427-4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