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Pygmalion)>에 투영된 인공지능(AI) 챗봇(chatbot)의 언어인류학적 고찰

이용수 312

영문명
A Linguistic Anthropological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s and Bernard Shaw s Drama Pygmal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박환영(Park, Hwan-Yo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7호, 491~51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인공지능에 기초한 최초의 챗봇이 1966년 만들어졌는데 이름은 일라이자(Eliza)였다. 일라이자(Eliza)는 원래 버나드 쇼의 희곡 작품 <피그말리온>에서 유래하였는데, 작품 속에서 여자 주인공의 이름이 일라이자이다. 작품 속에서 일라이자는 히긴스 교수로부터 영국 상류층 숙녀들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발음과 말투와 관련한 엄격한 언어교육을 받는다. 챗봇의 이름이 일라이자라는 것은 재미있는 사실이다. 작품 속에서 일라이자는 체계적인 언어학습을 통하여 언어적으로 재능을 가진 새로운 인물로 바뀌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챗봇도 데이터 베이스(DB)와 딥 러닝(Deep Learning)과 같은 언어학습을 통하여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언제든지 이용 가능한 대화상대자가 될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에 사회적으로 큰 반향(反響)을 일으켰던 페이스북 메신저를 기반으로 출시한 인공지능(AI) 챗봇인 “이루다”는 특정인을 대상으로 혐오 표현이나 차별언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결국 개발사인 스캐터랩에 의하여 데이터 베이스(DB)와 딥러닝 모델이 폐기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언어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버나드 쇼의 희곡 작품 <피그말리온>에 내재되어 있는 인공지능 기반 챗봇의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언어와 젠더(gender) 그리고 직접호칭과 사회적 정체성 등핵심적인 두 가지 측면에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일라이자를 대상으로 행하여진 히긴스의언어학습에서 중대한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예를 들어서 영국사회에서 여성들의 속어 및 비속어 사용은 보통 어머니와 하물며 이웃 공동체 구성원들에 의하여 엄격하게 제한되어진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일라이자는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이러한 여성언어를 제대로 학습하지 못하고 있다. 두 번째로 직접호칭은 보통 화자및 청자와 관련해서 사회적 지위와 사회적 정체성을 보여준다. 작품 속에서 히긴스는 일라이자를 이름(first name) 으로 호칭하는데 반하여 피커링은 성(姓) 즉 둘리틀 양(Miss Doolitter)으로 호칭한다. 버나드 쇼의 희곡 작품에서일라이자를 호칭하는 방식 속에 일라이자의 사회적 지위와 정체성이 반영되어 있듯이 오늘날 대화를 진행하면서챗봇을 어떻게 호칭할 것인가도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질 수 있다.

영문 초록

In 1966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 was made and its name was Eliza. The name of Eliza was derived from Bernard Shaw s drama so called Pygmalion . In fact, Eliza is the main woman character and Professor Higgins teaches her systematically accurate pronunciation and speech in the drama so she is able to acquire upper class lady s language. It is interesting that the first chatbot s name is Eliza. Eliza in the drama shows that learning some language skills suddenly makes someone become a very linguistically talented and new person. Likewise a chatbot becomes linguistically skillful and a useful conversation counterpart through Data Base(DB) and Deep Learning. In this context, from the standpoint of linguistic anthropology, I will investigate some similar elemen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chatbots and language acquisition inside Bernard Shaw s drama Pygmalion . In particular, two main viewpoints such as language and gender as well as terms of address and social identity are employed for analysis. Firstly, Higgin s s language classes for Eliza have crucial weak points in so far that they can not provide proper women s language. For example, women s usage of slang or swearing in English society are normally restricted by their mother and even their neighbours, but that is not the case for Eliza in the drama. Secondly, terms of address usually present social status and identity concerning speakers comparing to addressee. In the drama Higgins calls Eliza with her first name while Colonel Pickering addresses her with her last name, Miss Doolittle. Likewise it could be of importance to choose wisely how we address and treat a chatbot.

목차

1. 머리말
2. 희곡 작품 <피그말리온(pygmalion)>이 제시하고 있는 인공지능 챗봇과의 연관성
3. <피그말리온(pygmalion)>속 일라이자(Eliza)와 인공지능 기반 챗봇의 언어인류학적 분석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환영(Park, Hwan-Young). (2021).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Pygmalion)>에 투영된 인공지능(AI) 챗봇(chatbot)의 언어인류학적 고찰. 문화와융합, 43 (7), 491-510

MLA

박환영(Park, Hwan-Young). "버나드 쇼의 희곡 <피그말리온(Pygmalion)>에 투영된 인공지능(AI) 챗봇(chatbot)의 언어인류학적 고찰." 문화와융합, 43.7(2021): 491-5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