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송대(宋代) 주돈이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이용수 121

영문명
Influence of Buddhism on Philosophy of Zhou Dunyi in Song( ) Dynasty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제란(Kim Je Ra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7호, 527~5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주돈이(周敦頤, 1017-1073)의 ‘무극태극설(無極太極說)’은 유학의 ‘태극(太極)’과 노장의 ‘무극(無極)’ 개념을 조화시킨 것이다. 이것은 불교에서 바다와 파도의 비유로 표시되는 일심(一心)과 식(識)의 해석으로 이해할 수 있다. 대승기신론 에서 ‘태극’은 의언진여(依言眞如)와, ‘무극’은 ‘이언진여(離言眞如)’와 연관이 된다고 보기도 한다. 만물이 태극을 포함한다는 견해는 불교의 ‘일즉일체(一卽一切)’ 사상의 해석이다. 주돈이가 무극태극설을 주창하게 된 것은 당대 종밀(宗密)의 원인론 과 대승기신론 을 통하여 대승불교 사상을 접하였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논자는 무극· 태극의 관계는 이언진여· 의언진여의 관계보다는 심진여문· 심생멸문의 관계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종밀 사상은 노자 사상을 대승기신론 의 아라야식 사상을 가지고 해석하는 데서 출발한다. 이러한 사고 방식으로 역(易) 을 볼 때, 태극은 혼돈의 일기(一氣), 즉 아라야식이 되고, 여래장이 된다. 이 때 불생불멸의 여래장은 무극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극이무극’이 된 것이다. 이처럼 주돈이 철학에서 노장 사상과 역 의 조화는 불교를 매개로 하였고, 이 점에서 불교가 영향을 끼쳤다고볼 수 있다.

영문 초록

Zhou Dunyi(周敦頤, 1017-1073) s Wuji-Taiji Theory(無極太極說) harmonized the concept of ‘Taiji (太極, Supremr Ultimate)’ of Confucianism and the concept of ‘Wuji(無極, Non-Ultimate)’ of Daoism. This can be understood as the interpretation of ‘One mind’ and ‘alaya consciousness’ expressed in the parable of the sea and the waves in Buddhism. It is also considered that in The Awakening of Faith (『大乘起信論』), Taiji is related to ‘Yiyan True Thusness’(依言眞如) and Muji is related to ‘Liyan True Thusness’(離言眞如). The view that all things contain Taiji is an interpretation of the Buddhist idea of one-is-all and all is one(一卽一切) . Zhou Dunyi advocated for the theory of Wuji-Taiji Theory because he came into contact with Mahayana Buddhism through Yuanrenlun(『原人論』) by Tsung-mi in Dang dynasty and theory of The Awakening of Faith. However, I believe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Muji and Taiji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pect of Mind in terms of the Absolute’(心眞如門) and ‘the aspect of Mind in terms of phenomena’(心生滅門). Tsung-mi thought starts from interpreting Lao-tzu thought with the Alaya Conscousness thought of The Awakening of Faith. When we look at Book of Change (『易』)” in this way of thinking, Taiji becomes chaotic Yiqi(一氣), thus Alaya Conscousness, and becomes Tathahatagarbha. At this time, the immortality of the Tathagata can be said to be Muji. Therefore, it became ‘Wuji Taiji Theory’. In this way, the harmony between Daoism and the theory of Book of Change in Zhou Dunyi s philosophy was mediated by Buddhism, and it can also be said that Buddhism had an influence in this respect.

목차

1. 머리말
2. 본체론에 나타난 불교의 영향: 『태극도설(太極圖說)』
3. 심성론에 미친 불교의 영향: 『통서(通書)』
4. 철학적 방법론의 유사성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제란(Kim Je Ran). (2021).송대(宋代) 주돈이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문화와융합, 43 (7), 527-544

MLA

김제란(Kim Je Ran). "송대(宋代) 주돈이 철학에 미친 불교의 영향." 문화와융합, 43.7(2021): 527-5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