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상의 마음공부(마음의 스쿼트)로서 절 명상에 대한 연구

이용수 112

영문명
A Study on Bowing Meditation as Squat of Mind or a Daily Mindful Practice: Focusing on Lowing and Uprightness Movements(momjit)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조성훈(Jo Seong-Hu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7호, 511~52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7.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절이 지닌 몸짓의 의미를 밝혀 절 명상이 일상의 마음공부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절은 문화적으로 전통 의례나 종교 의식에서 사용되는 몸짓으로 여겨졌다. 그동안 절에 대한 인식은 하강의 움직임인 ‘낮춤의 몸짓’에 집중한 경향이 있고, 이는 절이 지닌 의례적 성격을 잘 설명한다. 하지만 절의 동작은 하강의 움직임에만 머물지 않고 상승의 움직임인 ‘세움의 몸짓’을 통해 완성된다. 한 번의절은 낮춤과 세움이 하나의 몸짓으로 이어져서 완성되는 동작이다. 그런 점에서 절은 기존의 낮춤의 몸짓 외에도상승의 움직임인 세움의 몸짓에 담긴 의미를 함께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는 절이라는 동작을 낮춤의 몸짓(불교의空)과 세움의 몸짓(유교의 立身)으로 해체하여 바라보고 이를 통해 절이 전통 의례나 종교 의식을 넘어 몸으로 하는 마음공부라는 점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절 명상은 ‘마음의 스쿼트’라고 볼 수 있다. 스쿼트는 운동의 영역에서 몸을 낮추고 다시 세우는 동작을 통해 몸의 근육을 강화시켜 건강한 신체를 갖도록 돕는다. 절 명상은 ‘낮춤’과 ‘세움’이라는 몸짓의 특성을 함께 공유한다는 점에서 마음의 스쿼트라 부를 수 있고, 마음의 스쿼트는 기존의 스쿼트가 몸의 근육을 강화한다는 측면과 비교할 때 마음근육을 강화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근육이라는 것은 몸이 지닌 힘을 나타내는것처럼, 마음의 힘을 상징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으로 ‘마음근육’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수 있다. ‘마음근육’ 또는 ‘마음의 힘’이라는 것은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텐데, 기존의 절 명상에 대한 연구에서 밝혀진 여러 효과를 살펴보면‘마음근육’이 강화된다는 점을 충분히 밝힐 수 있다. 결론적으로 낮춤과 세움의 몸짓으로 절을 해체하여 해석해 볼때 절 명상은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마음공부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veals the meaning of the bowing movement(momjit) and suggests that bowing meditation can be used as a daily mindful practice. Culturally, bowing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 gesture used in traditional ceremonies and religious rituals. Meanwhile, the recognition of bowing focuses on the momjit of lowering , which is a descending movement. Bowing s ceremonial aspect is effectively explained in this way. However, the bowing movement is not limited to descending; it is completed by the momjit of uprightness , the action of ascending. A single bow is an action that is done by lowering and uprightening as one momjit. In this regard, in addition to the momjit of lowering, it is vital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momjit of uprightness, which is an ascending movement. This helps in the deconstruction of the bowing movement as a gesture of lowering and uprightness. This serves to illustrate that bowing is more than just a traditional ritual or religious ceremony; it may also be a mindful bodily practice. From this point of view, bowing meditation can be viewed as a squat of the mind . Squats assist you maintain a healthy body by strengthening your muscles as you lower and rise in the area of exercise. Bowing meditation can be compared to a mind squat since it shares the same features as momjit in terms of lowering and uprightness , and the mind squat strengthens the mind muscles rather than the body muscles. However, in this case, the term mind muscle can be used to symbolically convey the mind s power, much like the word muscle communicates the body s power in body language. Of course, other interpretations are available depending on how you accept the terms mind muscle and mind power , but looking at the numerous benefits reported in bowing meditation studies, it is clear that the mind muscle is strengthened. In conclusion, when deconstructing and interpreting the momjit of lowering and uprightness, bowing meditation is a form of mindful practice that can be applied to everyday life.

목차

1. 머리말
2. 절의 몸짓
3. 일상의 마음공부로서 절 명상
4.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훈(Jo Seong-Hun). (2021).일상의 마음공부(마음의 스쿼트)로서 절 명상에 대한 연구. 문화와융합, 43 (7), 511-526

MLA

조성훈(Jo Seong-Hun). "일상의 마음공부(마음의 스쿼트)로서 절 명상에 대한 연구." 문화와융합, 43.7(2021): 511-5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