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松江 鄭澈 時調의 表現的 特長 硏究

이용수 199

영문명
A Study on the Expressive Features of the Sijo of Songgang, Jeongcheol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진욱(Kim jinwoo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3호, 675~69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특정 시인의 문학 작품이 문예미를 획득하는 데에는 다양한 요인이 작용할 것이다. 하지만소논문의 특성상 본 논의에서는 정철 시조 문학의 표현미를 중심으로 논의 하였다. 많은 연구자가정철 작품의 우수성을 이야기할 때 ‘탁월한 언어 사용’, ‘언어 조탁의 마술사’ 등의 특징을 언급하고 있다. 자연스러운 고유어 사용, 시어 사용에 있어 반복과 나열의 자연스러움, 어색함이 전혀없는 친숙한 율격의 사용 등은 정철 문학의 표현적 특장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정리된 ‘나열과 반복의 미’, ‘노래 부르듯 하는 적절한 율격’만으로 부족한 그의 표현적 특성의 구체적 특장점을 분석하였다. 기존에 충분히 논의된 표현적 특장은 본 논의에서 제외하였다. 본 논의의 범주는 정철의 시조작품만을 대상으로 하여 기존 논의에서 소외되었거나, 소략하게 다루었던 부분이 작품의 표현미를 어떻게 구현하였는가에 주목하였다. 정철 시조를 읽으면 ‘좋다’라는 그 감상이 어디에서 오는지, 그 구체적인 지점에 대한 이해를 구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의의 목적이다. 먼저 정철의 시조 작품은 기존의 관례를 깨고 새로운 형식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시조의 표현영역을 넓혔다는 사실을 밝혔다. 정철은 작품 창작 시 노래의 내용을 담을 틀이 부재하거나, 충분치 않을 때 가감이 틀을 파괴하였다. 기존 시조 형식의 파괴가 새로운 창조로 나아간 것이 정철시조 문학의 한 특성이다. 이것이 정철 문학의 우수성을 더욱 뛰어나게 한 特長이라고 주장했다. 오늘날 우리가 정철 작품을 읽을 때 익숙함과 낯설음의 기묘한 조화가 친숙과 긴장이라는 이질적 정서를 누리게 한다. 이러한 정철의 표현 방식은 작품의 내재적 의미를 떠나 그의 작품을 읽는즐거움을 배가시킨다. 이것은 정철이 전형의 파괴, 극적 장면의 활용, 관찰을 통한 묘사 등을 통하여 시조의 표현 영역을 넓혔기 때문이다. 정철의 시조가 문학적 아름다움을 획득한 이유 중의 하나는 그의 시어 때문이다. 정철의 시어는 일상어 사용의 빈도가 높다. 정철 역시 시조 창작에 한자어 사용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어느작가보다 일상어 사용의 빈도가 높다. 특히 체언보다 서술어에 그 특장이 돋보인다. 일상어를사용하여 대화하듯이 시상을 전개해 나가는 그의 시조 창작 방법이 정철 문학의 표현적 특장이다. 정철 시조 문학의 말하기 방식은 독특하다. 작가인 정철은 제삼자로 관찰자가 되고 작품 속의이질적 두 인물이 대화를 나누는 형식의 작품은 다른 작가의 작품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대상을 의인화하여 정철 자신과 서로 대화를 주고받는 작품 역시 시조 장르에서는 찾기 어렵다. 시조는 일반적으로 대상에 대한 인식을 독백으로 풀어낸다. 그러나 정철은 상당수의 작품에서대상과 대화를 하고 있다. 이러한 표현 방식이 정철 문학 작품이 미적 아름다움을 획득하는 기초가 되고 있다. 정철은 새로운 시조 형식을 창조하여 그 표현 영역을 넓혔으며, 독특한 말하기방식을 수용하여 문예미를 획득하였다.

영문 초록

Various factors will play a role in obtaining the literary beauty of a specific poet’s literary work.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short thesis, this discussion focused on the expressive beauty of Jeongcheol’s Sijo literature. When many researchers talk about the excellence of Jeongcheol’s work, they refer to features such as ‘use of excellent language’ and ‘a magician of language coordination’. The use of natural native language, the naturalness of repetition and arrangement in poetic use, and the use of familiar rules without any awkwardness can be said to be the expressive special strengths of Jeongcheol’s literature. Here, we analyzed the specific strengths of his expressive characteristics, which were lacking only with ‘the beauty of listing and repetition’ and ‘appropriate rules as if singing’ were summariz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e expressive special merits that were sufficiently discussed previously were excluded from this discussion. The scope of this discussion focused only on Jeongcheol’s Sijo works, and paid attention to how the parts that were marginalized or neglected in the existing discussions realized the expressive beauty of the work.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is to seek an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 point of where the impression of ‘good’ comes from when you read the Sijo of Jeongcheol. First, it was revealed that Jeongcheol’s Sijo works broke the existing customs and actively accepted new forms to expand the area of expression of Sijo. When creating a work, Jeongcheol destroyed the frame when there was no or insufficient frame to contain the content of the song. It is a characteristic of Jeongcheol’s Sijo literature that the destruction of the existing Sijo form has advanced to new creation. He argued that this was a special excellence that made the excellence of Jeongcheol’s literature even better. Today, when we read Jeongcheol’s works, the strange harmony of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allows us to enjoy the heterogeneous emotion of familiarity and tension. Jeongcheol’s expression method doubles the pleasure of reading his work, leaving the meaning of the work.This is because Jeongcheol expanded the area of expression of the Sijo through the destruction of the archetype, the use of dramatic scenes, and descriptions through observation. One of the reasons Jeongcheol’s Sijo acquired literary beauty is because of his poetic language. Jeongcheol’s poetic language is often used in everyday life. Jeongcheol is also using Chinese characters in his creation of the Sijo. However, he uses everyday words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writer. In particular, the predicates stand out more than the substantives. His Sijo creation method, which develops awards like conversation using everyday language, is an expressive feature of Jeongcheol’s literature. Jeongcheol’s Sijo’s literature has a unique way of speaking. Jeongcheol, an artist, becomes an observer as a third party, and a work in the form of two disparate characters in the work having a conversation is hard to find in other artist’s work. In addition, works that personify the subject and exchange conversations with him are difficult to find in the Sijo genre. The Sijo generally expresses his perception of an object as a monologue. However, Jeongcheol is talking with the subject in a number of works. This way of expression is the basis for Jeongcheol’s literature to acquire aesthetic beauty. Jeongcheol created a new form of Sijo to expand the area of expression, and acquired a literary beauty by accepting a unique way of speaking.

목차

1. 序論
2. 破格의 受容
3. 話法的 特長
4.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욱(Kim jinwook). (2021).松江 鄭澈 時調의 表現的 特長 硏究. 문화와융합, 43 (3), 675-693

MLA

김진욱(Kim jinwook). "松江 鄭澈 時調의 表現的 特長 硏究." 문화와융합, 43.3(2021): 675-6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