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극 「공포」의 공포 형상화

이용수 179

영문명
The figuration of fear in the play 「Fear」: Character relationships and stage spac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김규순(Kim Kyusoon)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3호, 359~375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연극 「공포」(고재귀 作, 박상현 연출, 2018)를 중심으로 무대 공간의 특징을분석하는 것이다. 연극에서 ‘무대’란 단순히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공간이 아니다. 무대는 인물들의 언어적 표현(말) 및 비언어적 표현(분위기)을 통해, 그리고 인물들의 계급 및 관계성에 따라구성될 수 있는 창조적인 공간이 된다. 「공포」는 러시아 극작가 안톤 체홉의 동명소설을 극화한 작품으로서 그가 실제로 사할린에다녀와 얻은 삶의 의미를 극의 주제로 드러낸다. 이 논문은 먼저 극중 인물들을 지배 계급과 피지배 계급으로 나누어 그들에 나타난 ‘공포의 형상화’를 서술한다. 그리고 실제 공연된 무대를 중심으로 관객에게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실존 공간과, 등장인물의 담화를 통해 제시되는 무대 밖 공간으로서의 상징적 공간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무대를 다섯 구역으로 분할하고 등장인물들이 각각의 구역들을 어떻게 구성하는지를 그들의 계급적 특성을 토대로 논의한다. 무대 공간의 분석 작업에서 인물들의 감정 교류와 상호 관계가 공간과 어떻게 앙상블을 이루는지를 중요하게 다루는 관점은 필수적이 되어야 한다. 본고는 연극 「공포」의 분석을 통해, 단지지시적인 표현 방식으로만 보기 쉬운 무대 공간의 내용 차원을 넘어 그것이 어떻게 상징적인구성 방식을 경유하여 인물들과 상호관련성을 맺게 되는지를 읽어내고자 했다.

영문 초록

The main aim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features of stage spaces based on the Korean play 「Fear」(Jae-Gui, Koh, director Sang-Hyun, Park, 2018). In theater, the “stage” has a more significant meaning than simply being a visualized space. Above the stage can be constituted through the character’s linguistic expression (verbal) and non-linguistic expression (mood), moreover can be a creative space according to where it is composed by the character’s class and reciprocal relationships. 「Fear」 is a dramatization of a novel written by Russian playwright, Anton Chekhov. During his trip to Sakhalin, Anton reveals the meaning of life that he gained from the trip and uses that for the theme of this play. This particular thesis divides the characters of the play from the ruling class and the governance class, representing the “figure of fear” that appeared within them. It also explains the existing space that is visually presented to the audience around the physical stage, and the symbolic meaning of an off-stage space presented through the character’s discourse. In the end, the stage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and the characters discuss how to organize each section based on the characters’ hierarchy. In the analysis of stage space, the characters’ perspective toward emotional exchanges and interrelationships forms an essential dramatic spa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y 「Fear」, beyond the mere contents level of stage space as referential expression, this thesis tried to interpret how interrelationships can be created among characters via symbolized compositions.

목차

1. 서론
2. 인물 간 관계에 나타나는 공포의 형상화
3. 무대 공간의 분할 : 인물들의 무대 공간 형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순(Kim Kyusoon). (2021).연극 「공포」의 공포 형상화. 문화와융합, 43 (3), 359-375

MLA

김규순(Kim Kyusoon). "연극 「공포」의 공포 형상화." 문화와융합, 43.3(2021): 359-3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