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봉선사의 선다시(禪茶詩) 고찰

이용수 183

영문명
A Study on Buddhist Priest Gyeongbong’s Zen-Tea Poetry(禪茶詩)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임선숙(Im sun-sook)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43권 3호, 695~71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봉 정석선사(鏡峰 靖錫禪師1892~1982)는 구한말에서 근·현대로 이어지는 격변의 시대를 살다간 우리 시대 최고의 선승 중 한 분이다. 구한말 이후 한문학이 제자리를 찾지 못할 때 그 명맥을근·현대까지 이었던 선승의 한 사람으로 그가 남긴 선수행(禪修行)의 결과와 선시 작품들은 한문학사의 마지막을 장식할 주요한 성과라고 생각한다. 본고에서는 그의 선다일미의 정신이 담긴 선다시, 염다래(拈茶來) 관련 시의 분석을 통해 그의미를 바르게 이해하고 그가 이룬 다(茶)문화의 발전된 성과를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그는 통도사 극락암 삼소굴에서 선다일여(禪茶一如)가 전통적으로 계승된 다반사(茶飯事)로 확립시키는데매진하였으며, 선풍과 다풍을 하나의 경지로 끌어올려 시대를 이어서 계승된 우리의 다문화를가일층(加一層) 발전시켰다. 또한 오랜 세월 극락암 삼소굴에 주석하면서 그를 찾는 많은 승려와신도들에게 선다정신을 잊지 않도록 강조하였고, 특히 염다래 의식을 통해 망자들을 극락왕생의길로 인도하였다. 이와 같이 염다래를 비롯하여 그가 이룩한 선다일미(禪茶一味)의 정신은 전통적으로 계승된다문화의 실질적인 의미를 밝혀주는 주요한 부분이다. 그는 철저한 수행정진의 과정에서 차의정신에 집중하여 선다일미가 전통적으로 계승된 일상다반사로 확립시키려고 노력하였음을 알수 있다. 이후 지속적으로 경봉에 대한 다방면의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하며 이러한 작업들이 모여서경봉선사에 대한 조금 더 응축된 연구 성과가 보고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Priest Gyeongbong Cheongseok(鏡峰 靖錫禪師 1892~1982) is one of the most honored Zen-priests of our time who lived in the tumultuous era from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to the Deleting the redundant phrase “to the late modern period” because it must necessarily include the “early modern period” as well.late modern period. When the Sino-Korean literature did not find its place after the end of the Korean EmpireRepeating the name for specificity. , Priest Gyeongbong Cheongseok was one of the Zen-priests who continued to practice it during Again, “until” cannot be used in this context. You may say “until the late modern period” or “during the early and late modern period”. the early and late modern period. As such, the Zen practice(禪修行) and Zen-poetry he left behind are considered important achievements that grace the end of Sino-Korean literature.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of his Zen-tea poems related to the spirit of Seondailmi (Zen practice and the ceremony of drinking tea are in the same taste) and Yeomdarae(拈茶來) (the ceremony of brewing and drinking tea), to offer the right understanding thereof and reveal his contribution towards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At the Samsogul Cave of Geuknakam Hermitage in Tongdosa Temple, he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the Seondailyeo(禪茶一如) practice as a commonplace(茶飯事) traditional tea ceremony and raised the Zen practice and tea-drinking practice to a higher realm, to further develop the Korean tea culture inherited from earlier times. In addition(加一層), to many monks and believers who visited him, he stressed that the Zen-tea spirit should always be remembered while living in Samsogul Cave of Geuknakam Hermitage. He also led the dead on the path to Paradise by means of the Yeomdarae ritual. In this way, the spirit of Seondailmi(禪茶一味) that he achieved, including the Yeomdarae ceremony, is significant for When it is described as an “important part” of something, there arise the question, of what?revealing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traditionally inherited tea culture. In the thorough disciplinary process, he focused on the spirit of tea and tried to establish Seondailmi as a traditionally inherited daily routine. Diverse studies on Gyeongbong are expected to continue, to produce more research work on Priest Gyeongbong.

목차

1. 서론
2. 경봉선사 선다시(禪茶詩)의 성격과 특징
3. 경봉선사 선다합일(禪茶合一)의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선숙(Im sun-sook). (2021).경봉선사의 선다시(禪茶詩) 고찰. 문화와융합, 43 (3), 695-712

MLA

임선숙(Im sun-sook). "경봉선사의 선다시(禪茶詩) 고찰." 문화와융합, 43.3(2021): 695-7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