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549

영문명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he preference of online class typ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권선희(Kwon, Sun-Hee)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1호, 1023~104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에 대한 조사에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자들의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 현황을 조사하고, 성별, 학년, 그리고 전공 등의 학습자 배경 요인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는 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선호 유형 및 중요 요인이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부산 소재 A대학과 B대학에 재학 중인 263명의 대학생들이며 2020년 9월 진행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SPSS 25.0을 이용한 빈도 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참여자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은 학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수업 선호 유형은 동영상 강의로 나타났으며 전공에 따라 선호도 차이가 발견되었다.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학습 선호 유형과는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온라인 수업에서 중요 요인으로 간주된 교수 설명방식과 자기 주도 학습 의지는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적 시사점이 제시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he preference of online class typ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participa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online class preference type were examined according to participants background factors such as gender, grade, and major. Also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e, online class preference type, and factors for successful online class. Participants were 263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and B university, loc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was collected in September 2020 through a survey, and analyzed by frequency, Chi-square,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25.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participa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ir grades. The type of online class that participants preferred most appeared as a video lecture, and the participants’ preference differed according to their major.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 of participa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and their preference of online class type. However, the two factors - teachers’ method to explain contents and learners’ will to learn, whi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dered important for successful online clas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articipa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e. Based on the results,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선희(Kwon, Sun-Hee). (2021).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1), 1023-1046

MLA

권선희(Kwon, Sun-Hee). "대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과 온라인 수업 유형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2021): 1023-10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