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 경험 연구

이용수 284

영문명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areer interruption among highly educated women: Focusing on traumatically experiencing wome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선미진 유나현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3호, 569~5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15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학력 여성들이 경력단절로부터 겪는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력단절로 인한 외상적 수준의 경험이 있는 고학력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그 경험의 본질적 의미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66개의 구성의미, 26개의 주제, 5개의 주제군이 도출되었다. 5개의 주제군은 ‘경력단절로의 진입’, ‘상실의 형태’, ‘상실에 따른 감정’, ‘상실에 따른 부적응적 대처’, ‘상실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경력단절은 고학력의 여성들에게 있어 ‘직업의 상실’ 이상의 다양한 상실로 경험되었는데, 주요한 상실은 ‘정체성의 상실’, ‘목표의 상실’ 및 ‘경제력의 상실’에서 파생되는 심리적 상실이었다. 상실의 경험은 ‘상실’에 대한 억압된 형태의 슬픔으로 주변에서 지지받거나 인정받지 못하는 ‘박탈된 슬픔’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심리적 상실은 상실의 대상이 추상적이고 모호하여 참여자들이 자각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기에 애도과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학력의 여성의 경력단절의 경험에 대해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traumatic experience that highly educated women experience from career interruption. Methods To do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highly educated women with traumatic experience due to career interruption,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experience was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66 formulated meanings, 26 themes, 5 theme clusters were derived. The 7 theme clusters appeared as ‘entering into career interruption’, ‘types of loss’, ‘emotion resulting from loss’, ‘maladaptive response to loss’, and ‘protective factors against loss’. Conclusions To summarize the findings, career interruption was experienced as various losses beyond just ‘loss of job’ among highly educated women, whose main losses were psychological losses derived from ‘loss of identity’, ‘loss of their goal’ and ‘loss of economic power’. The experience of loss was a suppressed form of sadness for “lost,” taking the form of “disenfranchised grief”, which was not supported or recognized by the surroundings. In addition, psychological loss had difficulty in their mourning process because the object of loss was abstract and ambiguous, making it difficult for participants to be aware.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the experience of career interruption among highly educated women are inclu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선미진,유나현. (2023).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 경험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3), 569-588

MLA

선미진,유나현. "고학력 여성의 경력단절 경험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3(2023): 569-5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