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이용수 345

영문명
A multi-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Focusing on the three instructors’ experienc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세영 윤채영 조현희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3호, 61~8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과정의 개발, 실행, 평가 과정을 살펴보고, 융합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준 교수자 내적, 외적 요인과 그 과정에서 교수자들이 겪은 어려움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을 개발, 실행한 3개 사례를 탐구하였다. 먼저, 각 사례에 대해 담당 교수자와 개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각 사례를 보다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관련 문헌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교원 대상 융합교육과정의 개발-실행-평가 과정 및 관련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귀납적인 방식과 절차에 따라 분석되었다. 결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융합교육과정은 학문 간 내용 통합 형태(거미줄형, 통합형, 공유형), 학습자 요구 조사, 평가방식(절대평가, 상대평가, 완화된 상대평가), 교수자 간 협업방식, 학교현장을 비롯한 다양한 현장과의 연계, 평가 및 환류 등에 있어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다음으로, 융합교육과정 운영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교사교육 및 융합교육에 관한 교수자의 인식, 교과목 개설 형태(교양 과목, 전공 과목), 교과목 운영을 위한 인적, 물적 지원 등이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수자 간의 소통과 협업이 예비교사 대상 융합교육과정 운영에서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현행 교사양성과정에 내재한 분과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결론 예비교사 대상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을 위하여 첫째, 융합교육과정의 개발 단계에서는 학문(교과) 통합의 모델을 선정하고, 수업 내용 및 방법을 설계하는 데 학습자 요구를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융합교육 교과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선호도를 높이고 수업 실행을 지원하기 위한 평가체제로서 절대평가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예비교사 대상 융합교육과정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수자 간 연계와 협력 촉진, (실습)학교 현장과의 연계를 통한 지식 활용의 기회 확대, 다양한 분야의 현장 체험 기회 제공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rocess of convergence curricular for pre-service teachers, and to analyze the instructo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practice of the curricula along with the related difficulties. Methods In this study, three cases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convergenc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explored. First,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instructor in charge of each case, and various literature data were collected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each cas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in inductive methods and procedures focusing on the development-implementation- evaluation process and related factors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Results The convergence curricula for pre-service teachers were practiced in various ways in the form of interdisciplinary content integration(webbed, integrated, shared), learner needs survey, evaluation method(criteria- based evaluation, relative evaluation, alleviated relative evaluation), collaboration between instructors, connection with various sites including school sites, and evaluation-and-feedback. Next, the instructors' perceptions of teacher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the form of subjects(liberal arts, major subjects), and human and material support emerg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practice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Finally,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between instructors were identified as one of the biggest difficulties in the practice of convergenc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which was closely related to the fragmented culture and system in the current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Conclusions For furthe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first, in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teacher educators need to select academic (curricular) integration models, and actively reflect the learner's needs in designing their instruction contents and method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riteria-based evaluation system to facilitate the practice of the convergence curriculum (i.e., increasing the preference of pre-service teachers for convergence education subjects and the flexibi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Third, in order to invigorate the convergence curriculum for pre-servic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promote cooperation between instructors from various academic backgrounds, expand opportunities to apply what they learned to the context of school and classroom, and provide opportunities to get involved in diverse field experi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세영,윤채영,조현희. (2023).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3), 61-84

MLA

최세영,윤채영,조현희. "예비교사 대상의 융합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대한 다중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3(2023): 6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