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에 근거한 대학 생활 적응 척도 개발

이용수 303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Based on Stress-Vulnerability Mode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정미 김소라 박준우 임종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3호, 523~54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15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Y대학교 대학생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취약성 모형에 기반한 대학 생활 적응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스트레스- 취약성 모형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대학 생활 적응 척도를 대학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대처 자원, 정신건강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고, 선행연구 고찰을 토대로 각 차원을 평가하기 위한 하위 요인을 선정하였다. 이후 각 차원 및 하위 요인의 구성개념을 대표하는 문항을 중심으로 예비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비 검사는 382명을 대상으로 예비 척도의 요인 구조를 탐색하여 최종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 검사는 대학생 539명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 구조의 타당도, 준거 타당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영역은 4가지, 심리적 대처 자원 영역은 5가지, 정신건강 영역은 4가지의 하위 요인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 세 가지 영역 모두 오차항 간의 상관을 가정하는 수정 모형의 요인 구조가 자료를 타당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척도의 정신건강 영역은 BSI-18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항의 내적 합치도를 확인한 결과, 심리적 대처 자원 영역의 회피적 대처를 제외한 모든 영역의 하위 요인은 신뢰도가 양호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가 Y대학교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심리적 대처 자원, 정신건강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llege life adjustment scale based on the stress-vulnerability model, focusing on the students of Y university. Method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odel, this scale was composed of three dimensions: college life stress,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s, and mental health, and a preliminary scale was developed with questions for each dimension and sub-factors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developed preliminary scale was conducted on 382 college students, and the final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factor analysis. A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539 college students for the selected final questions, and the validity, criteri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factor structure were confirm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4 sub-factors were derived for the college life stress area, 5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 areas, and 4 mental health areas.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modified model, which assumes the correlation between error terms in all three areas, explained the data reasonably. In addition, the mental health area of this scal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BSI-18. As a result of checking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tems, the reliability of sub-factors of all areas except avoidance coping in the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 area was significant.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he scale newly developed in this study reliably and reasonably measures college life stress, psychological coping resources, and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미,김소라,박준우,임종민. (2023).스트레스-취약성 모형에 근거한 대학 생활 적응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 (3), 523-540

MLA

박정미,김소라,박준우,임종민. "스트레스-취약성 모형에 근거한 대학 생활 적응 척도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3(2023): 523-5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