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만 3-5세 유아들의 인식
이용수 190
- 영문명
- 3-5 Year Old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Living and Non-living Childre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해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993~100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유아들의 묘사를 통해 유아들의 생물 개념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유아들이 그러한 생각을 가지게 된 단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2개 교육기관에서 연령별로 35명씩 무선 표집한 총 105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두 단계의 활동을 포함한 면접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유아들에게 개별적으로 충분한 시간을 주어 동물, 식물, 자동차, 집 그림 중 한 가지 이상의 그림을 그리도록 한 뒤 동물/식물/무생물이 살아 있는 것인지, 그렇지 않은지, 각 개체에게 물이 필요한지, 음식이 필요한지, 성장하는지, 숨을 쉬는지에 대한 개별 면담을 하였으며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동물, 식물, 움직이는 무생물, 움직이지 않는 무생물 각각 3장씩 총 12장의 그림카드를 사용하여 각각에게 물이 필요한지, 성장하는지, 숨을 쉬는지, 살아있는지 여부와 그렇게 생각한 이유에 대하여 추가적인 응답을 요청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살아있음’에 대한 만 3-5세 개념 유형은 ‘살아 있음을 증명하는 움직임’, ‘동물과 식물에서 발견한 생기: 살아 있다는 것’, ‘집과 자동차가 살아 있어요: 아이들이 무생물에서 발견한 생명의 징후로서의 숨의 흐름’, ‘자연 생성 혹은 만들어진 것: 인공의 개념’, ‘내가 쓸 때 움직이니까요: 자기중심적 생물 개념’, ‘그냥 느껴지는 것: 생명을 감지하는 ‘직관’의 힘’으로 범주화되었다.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만 3-5세 유아의 이해 경향성을 살펴보면 대부분 동물은 살아 있는 것이라고 인식(만 3세 96.2%, 만 4세 98.1%, 만 5세 99.0%)하는 반면 식물에 대해서는 이보다 낮은 비율(만 3세 83.8%, 만 4세 68.6%, 만 5세 82.9%)을 보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볼 때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유아의 개념은 움직임이라는 특징, 생기, 호흡과 같은 생명 현상, 자연 혹은 만들어진 인공의 개념, 자기중심적 개념과의 혼재, 직관과 같은 단서를 통하여 형성되는 경향성을 보였다. 이는 유아들이 가진 개념은 유아기의 발달 특성과 분리될 수 없으며 유아기의 고유한 특징을 배제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유아들이 생득적으로 가진 생물학적 직관이 생물학적 판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가정과 기관에서의 선행 경험을 토대로 그러한 판단이 일부 달라지기도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 지식의 질적 수준이 유아의 생물학적 판단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children’s conception of aliveness through their descriptions of biotic and abiotic objects and the cues that led them to think this way. Methods To this end, 35 children each at 2 different Choongchung provinc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randomly sampled by age for a total of 105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wo rounds of interviews including activities. In the first round, the children were given sufficient individual time to draw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animals, plants, cars, and houses. Afterwards, each child went through an individual discussion about whether each of their drawings of animals/plants/abiotic objects show an object that is living or not, whether it needs water, whether it needs food, whether it matures and grows, and whether it breathes. In the second stage, 3 picture cards for each category — animals, plants, animate abiotic objects, and inanimate abiotic objects — 12 cards total, were used to ask each child whether they thought the objects drawn on the cards need water, mature and grow, breathe, and are alive, and additionally were requested to share why they believed so.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children between the ages 3-5, types of conceptualization of aliveness can be categorized into: “movement that proves the object is living,” “vitality that can be discovered in animals and plants: living,” “houses and cars are alive: the flow of breath from the symptoms of life that children discover in abiotic objects,” “naturally created or produced: concepts of synthetic production,” “because it moves when I use it: self-centered concept of life,” “I just feel it: the power of “intuition” in detecting life.” Upon taking a closer look at the comprehension tendencies of children ages 3~5 regarding whether an object is alive or not, most recognize animals are living (age 3 96.2%, age 4 98.1%, age 5 99.0%); however, subjects showed a lower rate of recognition for plants (age 3 83.8%, age 4 68.6%, age 5 82.9%).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re is a tendency for children’s conception of whether something is living or not to be formed based on cues from the characteristic of mobility, signs of life such as vitality and respiration, the concept of nature versus synthetic production, mixing with self-centered conception, and intuition. This shows that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children have cannot be separated from characteristics of their developmental stage and that unique features of infancy cannot be excluded from consideration. Thus, the innate biological intuition children have has a non-negligible influence on their biological judgment. However, it was evident that preceding experiences at home or at educational institutions cant alter those judgments to an extent. This suggests that the quality of social knowledge impacts children’s biological judg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및 요구
-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가 희망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수학 교과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관련 개인, 가정, 수업 변인의 영향력 탐색
- 대학 온라인 강의에서 강의조직과 학습참여 및 지각된 학습성과 간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수학, 물리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벡터 표현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 미래사회 대비 중학교 예술교육 구현 양상에 관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 분석 및 논의
-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만 3-5세 유아들의 인식
- 고등학교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데이터를 활용한 주제토론 STEAM 프로그램 개발
- 인터넷 중독 성향의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VR콘텐츠를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교수-학습 모형 설계
- 코로나19 시기에 첫 임상실습을 수행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
- 영작문 평가에 관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 비교연구
- 청각 소음이 읽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
-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의의
- 자폐성장애(ASD) 대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경험
- 중학생의 현실비행 변화궤적과 친구관계, 교사관계, 부모양육태도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미취업 청년의 취업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령기 아동안전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만 1세 영아들의 Baby Sign 사용에 대한 의미
-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오방색 선호도와 대인관계 관련성 분석
- [삭제]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학교 급별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분석
- 미용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 공간 의미 탐색
-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 효과검증
- 학교 내 대안교실의 운영 성과분석
- 디지털 영어 교과서 기반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 및 문화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초등학생의 발달환경 요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가르침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의 영유아 부적응행동 지도에 대한 표상 변화
- 긍정 심리학의 연구 동향
- 여성 상담사의 장애 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문제 중심 대처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 교육분야에서 ‘미래’의 의미탐색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세종학당 한국어 읽기와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효과분석
- 암 투병 중인 아버지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교학점제의 사회적 인식변화 분석
-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예비수학교사의 사회 비판적 모델링 수업 설계와 성찰
- 남자 중학생 체조 철봉 한발 걸어 차오르기 동작에 대한 근활성도 분석 연구
-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관점에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COVID-19 감염관리 지식과 교육요구도
-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중학생 과학시험의 문항 유형에 따른 더닝-크루거 효과
- [삭제]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영화 리뷰에 나타난 수용자 시각 분석과 고전문학교육에의 함의
- 중학생을 위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의 외적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보육일지에 기록된 유아음악활동 실시현황 분석
-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 A Study on Task-based Elementary English Speaking Clas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Gather.town’
- 흥미의 발생과 지속을 위한 문학과 미술의 연계
-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 및 셀프리더십이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교양영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 간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지지와 학업적 희망,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
- 한국에서 상담을 전공한 중국인 상담자의 중국 귀국 후 전문직 적응 경험
- 전일제 청소년동반자로 살아가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1호 목차
- 교육신경학에 기초한 영재성의 재개념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