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 과학시험의 문항 유형에 따른 더닝-크루거 효과
이용수 139
- 영문명
- The Dunning-Kruger effect according to the question type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tes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진 이소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729~74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15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이 과학 교과에서 시험 문항 유형에 따른 자신의 역량에 대한 편향된 확신인 더닝-크루거 효과가 나타나는지를 확인하여, 학습방법을 제시하면서, 학습의 부정적인 요소들 제거하고자 한다. 학업기대와 학업성취간의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학습전략을 제시하기 위한 학교 현장의 요구에 응답하고 이를 수행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 남녀공학 중학생 2학년 215명을 대상으로 2021학년도 2학기 1회 과학시험 전, 시험 문항 유형인 선다형, 서답형 각각에 해당하는 예상 점수를 예측하게 했고, 실제 성적을 기준으로 한 사분위와 예상성적과의 관계분석, t-검증을 통해 유의미한 관계를 검증했다. 결과 예상 점수와 차이 점수(예상 점수-실제 점수)에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선다형 문항에 비해 서답형의 과대추정이 더 큰 것 역시 확인하였다. 학업성취가 낮은 학생의 과대추정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의 과소추정의 양방향 현상을 확인하여 선행 연구인 더닝-크루거 효과가 한국의 중학생들에게서도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첫째, 학생이 실제 성취한 점수와 차이 점수 간의 상관관계는 시험 문항 유형별 선다형과 서답형에서 모두 부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다형과 서답형의 예상 점수 추정에 있어 실제 성적 사분위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존재한다. 자신의 능력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자기주도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학습전략을 제시하고, 서답형 문항의 문항 유형 방식을 학교 현장에서 확대할 것과 문항 유형 외에도 인지편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있는지 확인해 볼 것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Dunning-Kruger effect, which is a biased confidence in one's ability according to the type of question in the science subject, appears in middle school students, suggesting a learning method, and removing the negative factors of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school to present a learning strategy that minimizes the discrepancy between academic expect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to prepare a basis for implementing it. Methods For 215 second-year coeducational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Gyeongsangbuk-do, we had them predict the expected scores for each of the multiple-choice and short-answer types of test questions before the first science test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rtiles based on actual grades and expected grades, and t-testing. Result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expected score and the difference score (the gap between the expected score and the actual score), and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overestimation of the short-answer typ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multiple-choice type question. By confirming the two-way phenomenon of overestimation of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and underestimation of students with good grades, the Dunning-Kruger effect, a previous study, was also found i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actual achievement score and the difference score was negative (-) in both multiple-choice and short-answer types for each test item type.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grades and quartiles in estimating the expected scores for multiple-choice and short-answer types. We present a learning strategy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that accurately judges one's own abilities, expand the question-and-answer-type question type method in the school field, and check whether there are factors that affect cognitive bias in addition to the question typ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및 요구
- 코로나19를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가 희망감에 미치는 영향
- 중학생의 수학 교과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언어 관련 개인, 가정, 수업 변인의 영향력 탐색
- 대학 온라인 강의에서 강의조직과 학습참여 및 지각된 학습성과 간 구조적 관계
- 고등학교 수학, 물리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벡터 표현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 미래사회 대비 중학교 예술교육 구현 양상에 관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 분석 및 논의
- 살아 있는 것과 살아 있지 않은 것에 대한 만 3-5세 유아들의 인식
- 고등학교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데이터를 활용한 주제토론 STEAM 프로그램 개발
- 인터넷 중독 성향의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VR콘텐츠를 활용한 항공객실서비스 교수-학습 모형 설계
- 코로나19 시기에 첫 임상실습을 수행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영향요인
- 영작문 평가에 관한 원어민과 비원어민 교수 비교연구
- 청각 소음이 읽기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원가족 건강성, 가족 건강성과 양육 태도의 관계
- 형평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교육적 의의
- 자폐성장애(ASD) 대학생들의 수업참여에 대한 경험
- 중학생의 현실비행 변화궤적과 친구관계, 교사관계, 부모양육태도의 동시효과 및 지연효과 연구
-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미취업 청년의 취업스트레스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학령기 아동안전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만 1세 영아들의 Baby Sign 사용에 대한 의미
- 대학생들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거부민감성과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한 대학생의 오방색 선호도와 대인관계 관련성 분석
- [삭제]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학교 급별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효과 분석
- 미용전공학생의 전공선택동기가 직업선택요인에 미치는 영향
-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 공간 의미 탐색
-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학사경고자를 위한 학업적 정서조절 프로그램 효과검증
- 학교 내 대안교실의 운영 성과분석
- 디지털 영어 교과서 기반 국제교류 협력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영어 의사소통의지 및 문화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
- 남녀 초등학생의 발달환경 요인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예비유아교사가 생각하는 가르침의 의미
- 예비유아교사의 영유아 부적응행동 지도에 대한 표상 변화
- 긍정 심리학의 연구 동향
- 여성 상담사의 장애 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마음챙김이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문제 중심 대처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 교육분야에서 ‘미래’의 의미탐색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 전문상담교사의 윤리적 의사결정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 세종학당 한국어 읽기와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이러닝을 활용한 대학생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의 효과분석
- 암 투병 중인 아버지 삶에 대한 생애사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교학점제의 사회적 인식변화 분석
-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을 위한 예비수학교사의 사회 비판적 모델링 수업 설계와 성찰
- 남자 중학생 체조 철봉 한발 걸어 차오르기 동작에 대한 근활성도 분석 연구
- 유치원교사의 교수창의성 및 놀이지원역량과 유아 또래놀이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2015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관점에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COVID-19 감염관리 지식과 교육요구도
- 간호대학생의 외모 만족도와 우울 관계에서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중학생 과학시험의 문항 유형에 따른 더닝-크루거 효과
- [삭제]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영화 리뷰에 나타난 수용자 시각 분석과 고전문학교육에의 함의
- 중학생을 위한 공유 인식 측정 도구의 외적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 보육일지에 기록된 유아음악활동 실시현황 분석
- 중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간 관계
- A Study on Task-based Elementary English Speaking Classe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Gather.town’
- 흥미의 발생과 지속을 위한 문학과 미술의 연계
-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 연구
-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 및 셀프리더십이 학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 비대면 교양영어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성과 간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 외국인 유학생의 교수지지와 학업적 희망, 성취목표지향성 간의 구조적 관계
- 한국에서 상담을 전공한 중국인 상담자의 중국 귀국 후 전문직 적응 경험
- 전일제 청소년동반자로 살아가는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삭제] 교육학적 구조를 적용한 고등학교 수학적 모델링 수업 설계 구체화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2권 21호 목차
- 교육신경학에 기초한 영재성의 재개념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