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6

영문명
A Study on System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누리 권은경 박정양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831~84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15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를 대상으로 현장에서 경험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과 인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이야기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한 지 1~3년 된 신규문화예술교육사 5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약 3개월 동안 총 10회기에 걸친 인터뷰 형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개인적인 특성,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 취득과정 경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에 대한 인식, 신규문화예술교육사로서의 경험에 관하여 반 구조화된 질문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예술가의 길이 아닌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둘째,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취업에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른 분야의 문화예술교육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되길 바라고 있었다. 넷째,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는 경제적 불안감을 가지고 두 가지 이상의 일을 병행하며,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만으로 문화예술교육사로서 활동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활용이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방안 및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신규문화예술교육사가 더 나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의 방향성을 발견하고 모색하는 연구의 출발점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경험과 인식에 관한 이야기를 신규 문화예술교육사의 관점에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향후 본 연구가 신규문화예술교육사들이 현장에서 느끼는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활용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로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가 올바른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길 바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find meaning through their voices in various aspects of the us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experienced in the field by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Methods Fiv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have obtained certificates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from July 2021 to October 2021 were interviewed in a total of 10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semi- structured form. Results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in that they could choose various paths, not the path of an artist. Second,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is effective for employment. Third, he hoped to create a community where he could communicate with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companies in other fields. Fourth,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ho works as a freelancer, has shown that there is a limit to working as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only with the qualification of a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This can be seen as meaningful, and it is found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requires measures and improvements to create stable job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We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serve as a basis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system of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in the right direction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on the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octor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누리,권은경,박정양. (2022).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1), 831-845

MLA

김누리,권은경,박정양. "신규문화예술교육사의 제도 활용 및 인식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2022): 831-8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