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 연구

이용수 5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Nano-LAB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Focusing on Teacher Efficacy, Meta-cogni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혜영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501~51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을 교사효능감, 메타인지, 자기성찰지능으로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 소재지 A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중 Nano-LAB 교과를 수강한 7명이 연구대상이다. 교사효능감, 메타인지, 자기성찰지능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점수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Kolmogorov-Smirnova test(K-S)와 Shapiro-Wilk test(S-W)로 정규성을 검증하였고, Wilcoxon으로 분석하여 사전평균 점수와 사후평균 점수의 차이를 통계적 유의성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대부분의 연구변인에서 정규성을 만족하고 있었으나, 교사효능감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사효능감 K-S 사후점수와 메타인지 K-S 사전점수 및 하위변인인 계획 S-W 사후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전평균 점수와 사후평균 점수의 차이를 통계적인 유의성으로 보면, 교사효능감과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일반적 교사효능감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타인지와 하위변인인 계획, 점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조절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성찰지능과 하위변인인 자기이해, 자기설계, 자기조절 및 정서활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자기반성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플립러닝을 정규교육과정 외 교과를 운영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역량중심의 교육을 이끌기 위한 방안을 중점으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Nano-LAB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for teacher efficacy, meta-cogni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Seven students who took the Nano-LAB class amo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do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Pre-tests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 of teacher efficacy, meta-cogni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 tested the normality with Kolmogorov-Smirnova test (K-S) and Shapiro-Wilk test (S-W) using SPSS 23.0,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average score and post-average score with Wilcoxon as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of the research variables satisfied the normal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 of teacher efficacy, personal teacher efficacy K-S post-score and meta-cognition K-S pre-score and the sub-variable, planning S-W post-score. Second,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average score and the post-average score in the view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he sub-variable, personal teacher efficacy,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teacher efficacy.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eta-cognition and the sub-variables such as planning and inspec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regul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he sub-variables such as self-understanding, self-design,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utiliza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refle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s as basic data to provide directions to conduct flipped learning more effectively when operating subjects other than regular curriculum.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ways to lea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혜영. (2022).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1), 501-513

MLA

조혜영.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2022): 501-51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