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및 요구

이용수 1008

영문명
A Study on Perceptions and Needs of Educational subjects for responding to School Violence: Focusing on policy changes after the revision of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And Countermeasures Against Violence In School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근영 윤소민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2권 21호, 631~65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폭법’ 개정에 따른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과 요구에 대하여 심도 있게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법 개정 전후의 기간 동안 교육기관에서 학교폭력 대응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교육지원청 장학사, 교장, 학교폭력 책임교사,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학부모 위원, 학생으로 구성된 13명의 교육주체들을 대상으로 질적 면접을 실시하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들의 표현을 그대로 요약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비교하는 범주화 작업을 통해 상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범주화된 내용을 바탕으로 원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도에 따라 범주를 확정하거나 수정하는 범주 확인 과정을 거쳤으며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기 위하여 자료 분석 과정 및 분석 결과를 학교폭력 관련 학계 전문가 및 현장 전문가 3인에게 자문을 받으며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학폭법’ 개정 효과에 대한 인식’, ‘학폭법’ 개정 이후 학교폭력 대응 정책 활성화 저해 요인에 대한 인식, ‘학폭법’ 개정 이후 학교폭력 대응 정책 활성화를 위한 요구라는 3개의 상위범주 아래 학교폭력대책심의위원회 신설로 사안처리의 전문성 확보, 갈등조정 및 관계회복의 현실적 어려움, 학교폭력 전담기구 운영의 내실화를 위한 역량 강화 등 각 4개씩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심의위원회 운영에 관한 직무분석을 통한 인력 보충’, ‘학교장 자체해결제 안착을 위한 제도 마련’, ‘교육적 대응을 위한 학교-교육청-지자체 협의체 구성’ 등과 같은 내용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폭법’ 개정이 교육현장에서 개정의 취지에 맞게 활성화되고 있는지를 심층적으로 고찰하고 학교폭력 대응 정책의 교육적 방향성을 잃지 않기 위한 보완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in-depth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educational subjects in response to school violence following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Methods A qualitativ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3 educational subjects, including supervisors working with District Office of Education, principals, school violence teachers, parents of the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ommittee, and students.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Express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as they were through open coding and classified into high categories through categorization work comparing them repeatedly. Based on what was categorized, a confirmation process of the categories, which corrected and confirmed them according to the goodness of fit model through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data, was carried out.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super-categories were derived: Perception of the effect of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Perception of the factors that hinder the activation of school violence response policies after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and Needs of the school violence response policy activation after the revision of the ‘school violence Act’ Below that, each of the four subcategories was derived: Securing expertise in handling issu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ommittee, Realistic difficulties in adjusting conflicts and restoring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capabilities for internalizing the operation of a dedicated school violence organiz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ents such as ‘Supplementation of manpower through job analysis on the operation of the School Violence Deliberation Committee’, ‘Preparation of a self-settlement system for school principals’, and ‘Formation of a consultative body for educational response’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supplementary data to not lose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school violence response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근영,윤소민. (2022).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 (21), 631-651

MLA

이근영,윤소민. "학교폭력 대응에 대한 교육주체들의 인식 및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1(2022): 631-6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