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766

영문명
Qualitative Content-Analysis on the Housing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정(Kim Eun Je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99~11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생활교육의 교수학습과정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질적 내용분석을 실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2020년 9월 현재까지의 질적 논문 8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생활교육 교수학습과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들의 핵심어(키워드)는 ‘주생활’, ‘주거와 거주환경’, ‘지속 가능한 주생활’, ‘주생활 문화’, ‘주거 안전교육’ 등 이었다. 교수학습방법으로는 ADDIE교수설계 모형을 적용한 연구와 문제중심모형을 적용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둘째, 연구들은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단원은 주생활 일반이었다. 교수학습 프로그램에는 교수설계안과 학생 평가항목, 사전/ 사후 검사 및 평가가 포함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자료로는 2~4차시에 적용 가능한 수업자료, 학생활동지와 평가지, 수업일지 등을 제시하고 있다. 분석 방법으로는 기술적 통계를 주로 사용했으며, 수업 기법으로는 문제해결 혹은 추론학습 모형과 비주얼씽킹을 주로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교수학습과정 프로그램 개발 자료의 통계적 유의미한 효과를 검증하여 제시한 연구들이 있었다. 다섯째. 연구 대상자와 지역적 특성에 따른 일반화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주생활교육 전반의 연구 경향에 미치는 내재적 요인과 주생활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the qualitative content-analysis targeting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otal eight qualitative theses from 2016 to september(present)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f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housing education teaching/learning program were ‘housing’, ‘dwelling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ustainable housing’, ‘housing culture’, and ‘dwelling safety education’. I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most of the researches applied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problem-based model. Second, those researches mostly analyzed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nd the unit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was general housing.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included the instructional design plan, student evaluation items, pre/post tests, and evaluation. Third, as the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they presented the lesson materials applicable to the 2nd-4th sessions, student activity sheets, evaluation sheets, and teaching log. In the analysis methods, the descriptive statistics was mostly used. In the teaching techniques, the problem-solving or inferential learning model, and the visual thinking were mostly utilized. Fourth, there were some researches that verified and present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program. Fifth, the difficulty in the generalization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was presented the most.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follow-up researches on the intrinsic factors having effects on the overall tendency of researches on housing education, and the measures for increasing the interest in researches on hous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정(Kim Eun Jeung). (2021).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6), 99-111

MLA

김은정(Kim Eun Jeung).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2021): 99-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