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원)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이용수 1236

영문명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박누리(Park Nu-Ri) 양재원(Yang Jae-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83~9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자기’는 사회불안의 발생 및 유지 과정에서 꾸준히 강조된 요인이다. 이에 ‘자기’ 영역에서 사회불안으로 이어지는 경로 탐색의 중요성이 시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의 발생 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대학(원)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3월 5일부터 4월 9일까지 총 5주 동안 경기도 소재 대학(원)에 재학 중인 461명을 대상으로 자기개념 명확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비교 경향성,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중 결측치 또는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424명의 자료를 통계적 분석에 사용하였다. 그다음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모형과 매개효과 검증을 통해 변인 간의 경로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각각 단순 매개됨을 확인하였으며, 더 나아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사회비교 경향성이 순차적으로 이중 매개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우울을 통제한 후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개념 명확성이 사회불안에 주요한 예측 변인으로, 자기개념 명확성이 낮을수록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하며, 타인과 사회적 비교를 많이 하게 되어 사회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Self’ has been a steadily emphasized factor in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of social anxiety.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exploring routes that lead to social anxiety from the ‘self’ area. In this stud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occurrence process of social anxiety, we try to verify the sequentially mediating role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social comparison tendency in the path from self-concept clarity to social anxiety. To this end, 461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self-concept clarity, intolerance of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social anxiety from March 5 to April 9, 2018 for a total of 5 weeks, and 424 of them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excluding missing or unfaithful responses. Then,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and explored the path between the variable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cept clarity and social anxiety,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were mediated, respectively. Furthermor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e social comparison tendency were sequentially mediated. We obtained the same results after controlling depres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ncept clarity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social anxiety. The lower the self-concept clarity, the less tolerant about uncertainty inducing the increase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with others, leading to social anxiety. Finally,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누리(Park Nu-Ri),양재원(Yang Jae-Won). (2021).대학(원)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6), 83-97

MLA

박누리(Park Nu-Ri),양재원(Yang Jae-Won). "대학(원)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2021): 83-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