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사의 기초학력부진아 지도실태분석을 통한 학력 신장 지원방안
이용수 153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Suppor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Slow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영재(Im, Young Jae) 김수현(Kim, Soo Hyun) 박정아(Park, Jeong 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581~59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기초학력부진아 지도실태분석을 통한 학력 신장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경기도 소재 초등교사 272명의 설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주제 설정의 근본 취지는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기초학력부진에 대한 우려로 기초학력부진 대응책을 교육부, 교육청, 교육지원청에서 중요 수행과제로 설정하였기 때문이다. 원격수업 사전 준비 부족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따른 학습격차로 이어졌고, 해결방안 강구가 교육혁신의 가장 큰 문제로 부각되었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기초학력부진아 지도의 목적 및 운영계획, 추진 방법의 이해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초학력부진아 지도, 지원과 관련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 기관을 활용한다는 인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여교사, 20년 이상 경력 교사, 기초학력부진아 지도 관련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의 기초학력부진아 지도실태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학력부진아 학력 신장 지원방안에서는 수업 중 팀티칭을 위한 협력교사 확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니터링 및 컨설팅 지원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경력에 따라 교사의 인식 수준은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교사 연수 확대, 지역사회와의 협력강화를 통한 학력부진에 관한 효과적 대응방안, 정책⋅재정 지원 등이 절실히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또한, 기초학력부진아의 지도실태 및 학력 신장을 교육혁신의 방향에서 접근시켜 특색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responses of 272 teachers from 16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in order to find ways to support slow learne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female teachers are more aware of the slow learners education than male teachers, general teachers rather than senior teachers, and teachers with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slow learners had a high level of awareness of the actual status for slow learners education. In addition,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slow learners is also found to be more recognizable than for female teachers, general teachers,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teaching slow learners rather than male teachers, senior teachers and teachers without experience in teaching slow learners. The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career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low learners and to provide effective education, an integrated welfare support system shall be established to expand teacher training and strengthen community cooper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deployment of cooperative teachers and to gather opinions from field teach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connections with families and develop and operate distinctiv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flect schoo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ackground.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이론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과 간호관리자의 인성교육 중요도 인식과 요구도 분석
- 대학-직장 이행과정에서 경험하는 의미 위기와 취업스트레스 간의 종단적 관계
-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이후 교육격차의 쟁점 분석
- 의과대학 신입생들의 진로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행동 특성
-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교직관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과제가치와 실재감이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가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한자어 부사 사용 양상 연구
- 임상간호사의 역할갈등과 긍정심리자본, 조직효과성, 간호업무수행 간 구조적 모형분석
- 국내 간호사의 환자안전활동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유아 놀권리에 대한 어머니 인식이 유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 전공핵심역량에 따른 반려동물전공 역량진단 문항 개발을 위한 델파이 조사 연구
-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한 초등학생의 지리적 사고 과정 이해
- 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습참여, 학업 긍정정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구조적 관계
- 대학(원)생의 자기개념 명확성과 사회불안의 관계
- 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 시행이 수행평가에 미친 영향에 관한 FGI 연구
- 학업중단 청소년의 여가 시간 사용 종단적 변화와 부모 애착 간 관계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초등 리노베이션 교실 활용의 효과성 분석
- 대학생 영어학습에 적용한 Flipped Learning 기반의 MOOC의 효과
- 어린이집 원장의 갈등관리 전략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연민 함양을 위한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 대학생의 교수자율성 지지와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및 학습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 코로나19시대 LMS 빅데이터를 이용한 학습자 행태와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분석
-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이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조절효과
- 아동 중심 수업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증강현실 그림책에 대한 만 5세 유아의 반응 및 인식
- 대학 교양 음악교육과 인성교육 연계 방안
- 국내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대학생의 공감 능력, 그릿, 대학생활적응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자기돌봄에 대한 인식과 실천
- 성인용 한국판 신체자비척도(BCS)의 타당화
- 예비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이 생애핵심능력에 미치는 영향
- 은유분석을 통한 유아교사의 유아관찰에 대한 인식 연구
- 대학원생들의 온라인 학업적응과정
- 초상화법을 활용한 마이스터 고등학생의 학업 중단 위기 극복 과정 탐색
- 중국인 대학원생 조별 발표 과제 수행의 난점(difficulties)에 관한 사례 연구
-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및 조별 활동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느끼는 사회적 실재감 연구
-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영재교육 연수경험과 영재학생 지도경험에 따른 교사의 영재 인식 비교
- 한 자녀 부모의 후속출산 관련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 Student Motivation and Classroom Achievement in a Korean University EFL Reading Class
- 대학생의 비인지 역량이 학업 성취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과학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 학교내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인권 교육과정개발
-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국⋅내외 사범대학의 교육목표와 교육과정 편성 비교 연구
-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숙달도에 따른 유의어 사용 양상 분석 연구
- 질적 내용분석을 통한 주생활교육 교수학습 연구 동향 분석
- 간호대학생의 동료교수활동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학년 간 수학 중심 통합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 Deleuze와 Guattari의 『안티 오이디푸스』에 나타난 기입양식과 교육의 양상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또래관계
- 초등교사의 기초학력부진아 지도실태분석을 통한 학력 신장 지원방안
- 간호학과 신입생의 자기주도학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정보처리이론에 근거한 인강(인터넷 강의) 학습법의 효과 분석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수학과 변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