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이용수 292

영문명
Analysis of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in the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of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ccording to Hauenstein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태수(Kim Tae Soo)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1권 6호, 645~65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3.30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을 활용하여 중학교 정치영역의 성취기준 9개와 평가기준 27개에 포함된 60개의 문장을 분석하였다. 성취기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역 차원에서는 ‘인지적 영역’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정의적 영역’이 있다. 성취수준 차원에서는 ‘2.0 동화’가, 문장 진술에 사용된 동사에서는 ‘이해한다’가 가장 많다. 평가기준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영역 차원에서는 ‘인지적 영역’만 있다. 성취수준 차원에서는 ‘2.0 동화’가, 문장 진술에 사용된 동사에서는 ‘설명할 수 있다’가 가장 많다.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문장에 진술된 동사가 일정한 규칙 없이 한 개의 동사가 하나의 성취수준 또는 여러 수준으로 사용되고, 다른 동사와의 관계에도 위계가 없어서 문장 분석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개발과 관련해서 다양한 영역(인지⋅정의⋅심동) 포함하기, 학교급별 학생 발달 정도와 교과별 특성을 반영하여 성취수준 정하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사용되는 동사의 기준 제시하기,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의 정합성 높이기를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By using “Hauenstein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60 sentences included in 9 achievement standards and 27 assessment standards in the middle school political domai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that ‘cognitive domain’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affective domain’ in the domain level. ‘2.0 assimilatio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understand’ was the most common verb used in sentence statements. Nex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ssessment standards showed that there was only the ‘cognitive domain’ at the domain level. Also, ‘2.0 assimilation’ was the most common in the achievement level and ‘can explain’ was the most common verb used in sentence statements. The verbs in the sentences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make sentence analysis difficult, because one verb is used at one achievement level or multiple levels without a certain rule and other verbs have no hierarchical relationshi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reflects the level of student development by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ncluding various area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By doing so, this study proposes the determination of achievement level, the standards of verbs used in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and increasing the consistency of the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설계
Ⅲ. 분석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수(Kim Tae Soo). (2021).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 (6), 645-655

MLA

김태수(Kim Tae Soo). "Hauenstein의 교육목표 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중학교 정치영역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6(2021): 645-6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