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스트레스 반응, 휴학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19

영문명
The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on stress response and intention of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미원(Kim, Mi-W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127~14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스트레스 반응과 휴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는 C지역과 I지역에 소재하는 2개 간호학과 학생 800명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일부터 2018년 5월 30일까지 대학생 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반응, 스트레스대처전략 설문을 시행하여 495부를 회수하여 46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ver. 22.0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61.2%가 휴학의도가 있다고 하였으며, 휴학을 희망하는 이유에는 학업부담이 40.1%로 가장 많았다. 스트레스 요인은 학업스트레스(2.90±.88), 장래(2.39±.79), 가치관(2.22±.98) 순으로 높았으며, 학년에 따라 총 평균(F=5.799, p=.001), 학업(F=8.114, p<.001), 장래(F=13.046, p<.001), 교수와의 관계(F=6.504, p<.001)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모두 4학년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반응에 스트레스정도가 영향을 미칠 때 회피전략이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고(β=.25, p<.000), 문제해결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을 낮추는데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β=-.10, p=.020). 휴학의도는 스트레스 정도가 2.5배, 회피전략이 2.1배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는 총점, 가치관, 학업, 교수 요인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4학년이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회피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또한 휴학의도를 증가시키는 영향을 주고 있음으로 학생지도 시 학년을 고려하고, 학생들의 스트레스대처 전략을 확인하여 회피전략은 줄이고 적절한 스트레스 전략을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ife stress factors and coping strategies of nursing students on stress response and intention of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00 students from two nursing departments in C and I regions, and data on life stress, stress response, and coping strategies were collected from May 1, 2018 to May 30. 464 response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ver. 22.0 to perform one-way ANOVA, multiple-regress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61.2% had an intention to take a break from school, and the hightest reasons was academic stress(40.1%). The degree of total stress (F=5.799, p=.001), academic stress (F=8.114, p<.001), future stress (F=13.046, p<.001), relationship with professor (F=6.504, p<.0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years, and the stress of the senior was the highest. The scores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affected the stress response. The avoidance strategy score (β=.25, p<.000) increased the stress response(β=.25, p<.000), and the problem-solving strategy was significant in reducing the stress response (β=-10, p=0.20). In the impact of the coping strategies scores on whether students want to take a leave of absence from school, the avoidance strategy showed 2.1 tim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tudents stress coping strategies to reduce the avoidance strategy and guide them to use appropriate stress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원(Kim, Mi-Won). (2020).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스트레스 반응, 휴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6), 127-144

MLA

김미원(Kim, Mi-Won).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스트레스 반응, 휴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2020): 127-14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