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빅데이터 로그에 기반한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사용 양상 분석

이용수 253

영문명
Analysis of Social Robot Usage Pattern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Big Data Log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송승민(Song, Seungmi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1373~139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사용 양상 분석을 통하여 특수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학생 6명이며, 가정에서 소셜로봇을 2019년 10월 14일부터 12월 15일까지 사용하였다. 소셜로봇의 메뉴는 프로그램 서비스, 긍정적 접촉, 부정적 접촉, 대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신회사로 전송되는 빅데이터인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서비스, 긍정적, 접촉, 부정적 접촉은 SPSS 25.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화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내용을 범주화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은 소셜로봇을 음악 듣기, 사진 촬영 등 여가 활동으로 사용하였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로봇에 대한 부정적 접촉이 긍정적 접촉보다 약 1.8배 높았으며,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소셜로봇과 발달장애학생의 긍정적 대화 양상은 기능실행, 탐색적 대화, 정보탐색, 공감적 대화로 나아갔다.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교육에서 소셜로봇을 적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special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social robot usage pattern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y used social robots at home from October 14 to December 15, 2019. The menu of social robot consisted of program service, positive contact, negative contact, and conversation, and analyzed log data, which is big data transmitted to a telecommunication company. For program service, positive, contact, and negative contact, SPSS 25.0 was us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dialogue categorized the contents by applying the continuous comparative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ed social robots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music and taking pictures. Second, negative contact with social robo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about 1.8 times higher than positive contact, an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the positive dialogue patterns of social robots an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progressed to functional execution, exploratory dialogue, information exploration, and empathetic dialogue. The possibility of social robot appli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the suggestions for applying social robots in special educa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승민(Song, Seungmin). (2020).빅데이터 로그에 기반한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사용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6), 1373-1394

MLA

송승민(Song, Seungmin). "빅데이터 로그에 기반한 발달장애학생의 소셜로봇 사용 양상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2020): 1373-13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