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실감형콘텐츠 분석

이용수 678

영문명
Analysis of Immersive Content i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영현(Kim Young-Hyu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709~72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사회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실감형콘텐츠의 양상을 분석하고 구성과 활용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감형콘텐츠를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의 두 유형으로 나누어 학년 및 영역별 활용현황, 구성, 형태, 기능, 교과서 내용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로 살펴보았을 때 낮은 학년에서는 가상현실(VR)이 높은 학년에서는 증강현실(AR)이 자주 활용되었으며 영역별로는 지리영역에서 실감형콘텐츠 활용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또한 실감형콘텐츠는 교과서 구성 중 주제학습의 본문에 주로 제시되었으며 학습내용을 실제와 같이 표현하는 형태가 많았다. 끝으로 교과서 본문 내용을 확장하고 제작된 콘텐츠를 관람하는 기능이 가장 많이 구현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실감형콘텐츠가 특정 영역, 기능, 형태, 구성, 내용에 집중되어 있어 균형적이며 입체적인 활용이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실감형콘텐츠가 인간의 정서와 감정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면 삶을 기반으로 하는 초등 사회과 학습 전반에 새로운 교육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초등 사회과에서 실감형콘텐츠의 구성과 활용에 대한 확장된 관점의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mersive Content presented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digital textbook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Immersive Conten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Immersive Content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f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and analyzed based on relevance to the current status, composition, form, function and textbook content by grade and field. In the lower grades, augmented reality (AR) was frequently used in high, virtual reality (VR) was frequently used in low, and Immersive Content was actively utilized in geographical field by area. In addition, Immersive Content was mainly presented in the subject-learning text during the composition of the textbook, and there were many forms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expressed as if they were real. Finally, we were able to exp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and see what was implemented the most with the ability to view the contents produced. Based on these analyses and discussions, real-world content needs to be used in a balanced and extended manner, rather than being buried and limited to specific fields, functions, forms, configurations, and content as well. It is expected to provide new educational opportunities throughout life-based primary Social Studies and learning, especially considering that real-world content can affect human emotions and emo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탐색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현(Kim Young-Hyun). (2020).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실감형콘텐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6), 709-727

MLA

김영현(Kim Young-Hyun). "초등 사회과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실감형콘텐츠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2020): 709-7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