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Talk in an English Education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이용수 88

영문명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정아(Lee Jeong A) 최호성(Choe Hohsu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929~95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교직실습과 마이크로티칭활동에서 사용하는 교사언어 유형을 결정하고, 교사언어 개선에 있어 음성녹음실습의 유형의 효과를 탐구하고, 마이크로티칭에 음성녹음을 이용한 교사언어실습을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번 연구에는 국립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정에 등록한 예비교사 24명이 참여했다. 한 학기 동안 과정 중 음성녹음을 통한 수업시연실습에서 나온 음성 녹음 파일, 마이크로 티칭 영상 파일, 저널 등 데이터가 수집됐다. 이번 연구결과는 예비교사들이 모델링, 피드백 제공, 지시, 우발적 관리, 질문 등 5가지 유형의 교사 언어를 자주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개별실습(IP) 그룹의 참가자는 지시의 교수언어를 가장 많이 사용했고, 협업실습(CP) 그룹의 참가자는 피드백, 지시, 모델링 등의 다양한 유형의 교사언어를 학생과의 대화에 주로 사용했다. 협력적인 음성 녹음을 통한 수업시연 연습방식은 예비 교사들이 다양한 유형의 교사 언어를 더 잘 활용하여 특히 모델링, 우발적 관리, 피드백 제공 및 질문에서 그들의 교육적 성과를 얻을수 있게 기여했다. CP 참여자들은 마이크로 티칭에 대해 긍정적이고 자신감 있는 태도를 보인 반면, IP 참여자들은 마이크로 티칭이 긴장되고 부담스러운 작업이라고 여긴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협력적 음성 녹음기반 수업시연 연습방식은 예비교사들이 좀 더 상호 작용적이고 진실한 맥락에서 교사언어를 연습할 수 있게 도와주고, 교사에 대한 자신감을 쌓는 효과적인 방법임이 입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types of teacher talk used by pre-service teachers in their teaching practice sessions for microteaching and in a microteaching session, and to explore the types of practice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eacher talk, and to suggest a teacher talk practice using voice recording for microteaching. Twenty-four senior pre-service teachers who enrolled in an English education course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including voice recording files from practice sessions, microteaching video files from an actual microteaching session, and reflective journals, were colle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individual practice (IP) group used instructing the most, while the participants in collaborative practice (CP) group used various types of teacher talk, primarily, providing feedback, instructing, and modelling. CP enhanced them to use modelling, contingency management, providing feedback, and questioning in microteaching, CPMT. The CP participants showed their positive and confident attitudes toward CPMT, whereas the IP participants considered IPMT, a nerve-racking and burdensome task. Hence, the CP proved to be an effective way for pre-service teachers to practice teacher talk.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METHODOLOGY
Ⅳ. FINDINGS
Ⅴ. DISCUSSION &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아(Lee Jeong A),최호성(Choe Hohsung). (2020).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Talk in an English Education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6), 929-951

MLA

이정아(Lee Jeong A),최호성(Choe Hohsung).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 Talk in an English Education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2020): 929-9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