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내용 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효과 비교

이용수 372

영문명
Effects of Integrated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 Meta-Analysi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지숙(Lee, Ji-suk) 김정렬(Kim, Jeong-ryeol)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0권 16호, 595~62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8.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내용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효과를 다룬 연구물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어 왔던 영어통합교육의 효과를 종합하여 들여다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0년 3월까지 초등통합영어교육을 주제로 삼아 연구된 연구물들을 모두 수집하여, 이 중 연구의 적격성 기준에 맞는 41편의 학술지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한 후,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효과크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인(내용중심통합, 언어중심통합), 종속변인(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조절변인(학년, 처치시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 초등 내용중심 통합 영어교육 전체의 평균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보이고 있었으며, 인지적·정의적 영역의 효과크기도 중간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또한 독립변인인 언어중심통합과 내용중심통합 모두 중간 정도의 크기의 효과로 나타났으며, 두 변인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조절변인인 학년 및 처치시간에 따른 언어중심통합, 내용중심통합의 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언어중심의 경우 학년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 처치시간의 경우 처치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효과의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중심 통합의 경우 학년이 올라갈수록 그 효과의 크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처치시간의 경우 immersion 집단이 다른 세 집단(15차시 이하, 16~31차시, 31차시 이상) 보다 그 효과크기가 눈에 띄게 크게 나타났으며, 그 결과가 유의한 것으로 미루어 내용중심교수의 특성상 그 효과의 크기가 크게 나타나기 위해서는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장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시사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ynthesize the effectiveness of English language instruction using content-language integrate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in EFL environment through quantitative meta-analysis.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the research and selec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total 41 academic journal papers and degree thesis were retrieved and analyzed in the research synthesis. The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V3) was used for the meta-analysi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deduction of the effect size based on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tent driven vs. language-driven) and dependent variables (cognitive vs. affective) along with the analysis based on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the grade-level and the experimental peri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size of content-language integrated teaching is in the range of the median effect size, and so are all the other variables such as dependent and moderator variables. Second, with regards to moderator variables, the case of language-driven integration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increased gradually over tim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level. For the case of content-driven integr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grade-level and experimental period. The effectiveness of content-driven integration not only increased with the grade-level but also showed striking effectiveness in immersion groups compared to other three groups with different degree of the limited frequency and perio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숙(Lee, Ji-suk),김정렬(Kim, Jeong-ryeol). (2020).초등 내용 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효과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 (16), 595-621

MLA

이지숙(Lee, Ji-suk),김정렬(Kim, Jeong-ryeol). "초등 내용 중심 통합 영어교육의 효과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2020): 595-6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