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 탐색

이용수 275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of Gardens as Educational Spaces : Based on Everyday Aesthetic Engagement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지연(Choi, Jiye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1349~136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에 부속된 교육공간인 정원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공간의 개념을 고찰하였고, 일상의 미학, 정원기반학습, 참여 미학에 근거하여 정원의 교육적 의미를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원은 일상의 삶을 교과의 관점으로 이해하고 바라볼 수 있게 해주며, 교과를 살아있게 만든다. 둘째, 인간에게는 보고 듣는 감각인 원근 감각과 맛보고, 냄새 맡고, 촉감으로 느끼는 근접 감각이 공존한다. 원근 감각 활용이 빈번한 학교교육에서 정원을 기반으로 한 공부는 근접 감각과 원근 감각을 균형 있게 사용하도록 도와줌으로써 아름다움을 체험하는 공감각을 활용하게 해준다. 셋째, 정원은 자연스러운 학습 환경을 제공한다. 따라서 정원에서의 학습은 학습자의 상상력, 관심, 흥미를 토대로 자신만의 감상과 경험이 가능하다. 넷째, 정원은 학습자로 하여금 바라만 보도록 하는 관조를 넘어 직접 무엇인가 행동을 하도록 만들어준다. 다섯째, 정원에서의 참여는 신체적 참여와 연관하여 이해할 수 있었다. 근육의 움직임, 다양한 공감각을 활용한 참여는 다양한 지각을 통합할 수 있게 해주었다. 마지막으로 정원기반학습에의 참여는 일상의 삶과 학습을 연속성 있게 바라보도록 해줌으로써 일상의 다양한 측면이 학습의 국면으로 통합되면서 학습과 일상이 각각의 의미를 갖도록 돕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gardens, an educational space attached to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educational space was reviewed, an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gardens was proposed based on everyday aesthetics, garden-based learning, and engagement aesthe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the gardens helped students understand their daily lives from subjects’ view and made the subjects in curriculum lively. Second, humans had distal and proximal senses. Under school education, which often uses a distal sense, the garden helped balance of both senses. Third, the garden provided a natural learning environment. Thus, learning in the garden was possible based on the learner s imagination, concern, and interest. Fourth, the gardens made it possible for learners to do something directly beyond contemplation to look at them. Fifth, participation in the garden was understood in relation to physical participation. Muscle motions and participation using various synesthesia enabled the integration of various perceptions. Finally, participation in the garden-based learning has helped to integrate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into the learning phase by allowing us to look at everyday life and learning continuously.

목차

Ⅰ. 서 론
Ⅱ. 교육공간에 대한 이해
Ⅲ. 정원의 교육적 의미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지연(Choi, Jiyeon). (2018).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4), 1349-1367

MLA

최지연(Choi, Jiyeon). "교육공간으로서 정원의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2018): 1349-13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