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한 쟁점 분석

이용수 683

영문명
Analysis of Issues Related to Improvement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Centered on the term Standard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이 림(Lee R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8권 24호, 157~17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영미권의 기준 중심 교육개혁 운동의 영향을 받아 제6 차 교육과정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된 기준이라는 용어가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하여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하고 향후 개선방향을 탐색하는 데에 있 다. 이를 위하여 2018년 3월 중 ‘기준’과 관련한 2017년까지의 학술논문 및 연구보고 서를 검색하고 종합적인 문헌분석을 통해, 기준이라는 용어가 그동안 우리나라 교육 과정 개정 과정에서 교육적 개선과 관련하여 어떤 쟁점으로 나타났는지 분석하였다. 첫째, 공정하고 객관적인 학생평가를 위한 방식으로 ‘기준’이란 용어를 활용하였으 나, 평가라는 측면에서만 지엽적으로 기준을 활용한 측면이 있다. 둘째, 수업-평가의 일관성을 추구하였으나, ‘내용+행동’으로 기술되는 성취기준 도입에 따라 목표-내용 -방법-평가 사이의 구분을 오히려 불분명하게 만들었고, 교육과정 관련 문서를 이 중, 삼중으로 개발하는 구조를 양산했다. 셋째, 교과서 중심 수업에서 교육과정 중심 수업으로 나아가는 과정 중에 교육과정 문서를 대강화하느냐, 상세화하느냐에 대한 논란이 나타났으나, 양자 간의 어설픈 봉합으로 국가 교육과정 문서는 인식론적인 규정성에 비해 교육의 방향을 안내하는 체계성은 확고하지 못한 상태가 되었다. 넷 째, 기준이 갖는 최소, 핵심의 특성에 의거하여 교육과정 적정화를 추진했으나, 기준 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이나 그 이상에 도달한 학생에게 어떤 처방과 조치를 취할 것 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했다. 이런 분석을 바탕으로 첫째, 기준의 의미를 광범위하 게 사용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다양한 의미의 기준은 여러 가지로 분산된 문서가 아니라 하나의 교육과정 문서로 통합되어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야 함과 동시에,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학생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 는 교사의 평가 전문성 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수행하지 못한 설문조사, 심층면 담 등을 바탕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 국가, 지역, 학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안하 는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ssues related to improvement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centered on the term standards , especially achievement standards since the Sixth Curriculum, influenced by the standards-based education reform movement in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in the 1980s. To do this, I searched the academic papers and research reports until 2017 related to standards in March 2018, an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First, the term standard was used as a method for fair and objective student evaluation. Second, one of the reasons for adopting the achievement standard in Korea is related to the consistency of the class and evaluation. Third, there was controversy about whether to strengthen or refine the curriculum documents during the process of going from the textbook - based class to the curriculum - based class. Fourth, we pursued appropriate curriculum based on the minimum and cor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s. Based on this analysis, I can suggest that the meaning of the standards has to be widely used. The standards of various meanings should be integrated into one curriculum document rather than various distributed document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students evaluation and to improve the evaluation expertise of the teachers who can properly evaluate the students based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I hope that further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suggest empirical research based on surveys, in - depth interviews, etc. and to propose specific roles of countries, regions and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기준’이란 용어의 무비판적 수용과 이에 따른 혼란
Ⅲ. 기준이란 용어의 도입과 국가 교육과정 개정 관련 쟁점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 림(Lee Rim). (2018).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한 쟁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 (24), 157-178

MLA

이 림(Lee Rim). "우리나라의 국가 교육과정 개선과 관련한 쟁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2018): 15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