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고 역량 계발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Development of Thinking Competency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윤지영(Jiyoung Yoon)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687~70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15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에서 학생의 사고에 대해 다루는 내용을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학생의 사고 역량 계발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성 방안을 탐색한다. 방법 고차적 사고 과정인 창의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의 정의와 특징을 탐색하여 창의적 사고 역량과 지식정보처리 역량의 이해와 개선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총론과 각론에서 사고를 다루고 있는 내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어 호주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사고 역량의 정의와 특성을 확인하고, 교과 교육과정의 사고 역량이 반영된 방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창의성을 교육해야 할 중요한 사고로 설정하였고 역량을 통해 이를 계발하고자 하였으나, 창의적 사고 역량과 지식정보처리 역량의 정의와 요소가 고차적 사고 과정 및 교과 교육 방법을 고려하지 않고 설정되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론에서 역량 계발의 구체화 방식인 교과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 범주가 절차적 지식을 다루지만, 절차적 지식이 어떻게 고차적 사고 과정이나 역량의 계발로 이어질 수 있는지 보여주지 못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호주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주는 사고 역량의 정의 및 요소가 명료하고, 사고 역량의 발달 수준을 보여주며, 사고 역량의 요소를 반영한 교과 교육내용이 제시되었다. 결론 고차적 사고 과정의 정의와 특성, 관계를 고려하여 사고 역량을 설정할 필요가 있고, 사고 역량의 요소 및 하위요소는 사고의 특성이 아닌 사고 과정을 반영하여야 각론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에 구체화 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사고 역량의 발달 모습을 제시하는 것은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서 지식 및 기능의 심화, 평가에서 학생의 역량 수행을 확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by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on student thinking, and to explore organiz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develop students’ thinking competency. Methods By exploring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bility of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which are higher-order thinking processes,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and improv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nd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nd identified problems by analyzing the content dealing with students’ thinking i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Additionally, the defin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inking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documents of Australia and British Columbia, Canada, were examined, and the thinking competency presented in the subject curriculum was analyzed. Results In the general guidelines, the definition and elements of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nd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re not clear, and the thinking proc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order thinking processes are not considered. In addition, in the subject curriculum, it fails to demonstrate how procedural knowledge can lead to the development of higher-order thinking processes or competencies. In contrast, Australian and British Columbia have established thinking competencies and elements based on research on higher-order thinking processes, presented the development levels of thinking competencies, and provided subject curriculum contents that reflected the elements of thinking competencies. Conclusions Thinking competency needs to b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order thinking processes, and the elements and sub-elements of thinking competency must reflect the thinking proces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thinking, so that they can be specified and applied to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And, presenting the development of thinking competency can be used to deepen knowledge and skills in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and confirm the performance of students' competency in assessment.

목차

Ⅰ. 서론
Ⅱ. 고차적 사고 과정으로서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
Ⅲ.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사고 관련 내용 분석
Ⅳ. 호주와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주 사고 역량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지영(Jiyoung Yoon). (2024).사고 역량 계발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7), 687-707

MLA

윤지영(Jiyoung Yoon). "사고 역량 계발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성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7(2024): 687-7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