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대 학습자의 학업걱정상태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5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cademic Worry State Questionnaire(AWSQ) for Learners in their 20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최정아(Jung Ah Choi) 양지연(Ji-Yeon Ya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61~7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15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습자의 학업상황에서 발생하는 걱정을 측정해주는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척도의 심리측정학적 속성을 검토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학업걱정상태척도를 제작하고, 208명의 20대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적합치도 조사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로부터 주요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독립적인 207명의 검증표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적합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개발된 학업걱정상태척도와 관련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통해 변별타당도, 수렴타당도, 준거타당도를 검토하였다. 결과 208명의 추정표본으로부터 최종 1요인 9문항이 도출되었으며, .90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207명의 검증표본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CFI가 978, TLI가 .970, RMSEA가 .067, SRMR이 .035로 양호한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관련 변인들과의 상관분석 결과, 본 척도는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PSWQ) 척도 및 실패공포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서 수렴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본 척도는 특질 학업효능감, 상태 학업효능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서 변별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준거타당도 역시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본 척도는 학업소진척도의 하위요인들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학업열의척도의 활기, 몰두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교육 또는 상담학적 개입에 향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임상적 의미를 시사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of learners’ worry arising in the academic situation,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developed scale. Methods To this end, we developed the Academic Worry State Questionnaire(AWSQ) and conducted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208 learners in their 20s, and derived the main factors. Subsequently, w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an independent sample of 207 to evaluate the model fit. We also examined the discrimina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 validit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developed Academic Worry State Questionnaire and related variables. Results Using the estimation sample of 208, the final 1-factor scale with 9 items was derived, demonstratinga high internal consistency, exceeding .9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207 validation sample showed good fit with CFI .978, TLI .970, RMSEA .067, and SRMR .035. Correlation analysis with related variables showed that the scale had convergent validity as i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scale and fear of failure. On the other hand, the scale had discriminant validity as i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trait academic self-efficacy and state academic self-efficacy. Criterion validity was also confirmed, as the sca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subscales of the academic exhaution scale an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clusions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has potential clinical significance for future use in educational or counseling interventions. The study concludes by discussing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정아(Jung Ah Choi),양지연(Ji-Yeon Yang). (2024).20대 학습자의 학업걱정상태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7), 61-73

MLA

최정아(Jung Ah Choi),양지연(Ji-Yeon Yang). "20대 학습자의 학업걱정상태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7(2024): 6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