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이용수 131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김보옥(Bo-Ok Kim) 김경한(Kyong-Hahn Kim)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775~788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15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비교·분석한다. 방법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교육의 취지를 지식, 기능, 태도의 관점에서 성취기준에 실질적으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는데 이러한 취지가 반영되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2015와 비교·분석한다. 결과 지식 차원에서는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모두 ‘사실적 지식’이 가장 많이 분포되었고,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모두 거의 없었으며, ‘메타인지 지식’은 2015와 달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소 비중이 높아졌는데 이는 전략적 지식과 정의적 태도를 성취기준에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모두 ‘기억하다’와 ‘이해하다’의 저차원 인지 기능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15와 달리 2022 교육과정에서는 ‘창의하다’와 ‘평가하다’와 같은 고차원 인지 기능이 도입되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변화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의 취지를 반영하기 위해 지식, 기능, 태도의 차원에서 성취기준을 균형적으로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2015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Method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de efforts to ensure tha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examine whether this purpose has been achieve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in 2015 and 2022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ults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the most distributed in “factual knowledge”. There were almost no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Meta-cognitive knowledge has increased in propor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is analyzed as a result of reflecting strategic knowledge and affective attitud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low-level cognitive functions of “remember” and “understand”, but unlike 2015, the 2022 curriculum showed a change of introducing high-leve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evaluate” and “create”. Conclusions These changes show that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rives to pres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a balanced manner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order to reflec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영어과 성취기준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옥(Bo-Ok Kim),김경한(Kyong-Hahn Kim). (2024).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 (1), 775-788

MLA

김보옥(Bo-Ok Kim),김경한(Kyong-Hahn Kim).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2024): 775-7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