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이용수 300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옥(Bo-Ok Kim) 김경한(Kyong-Hah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775~78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바탕으로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비교·분석한다.
방법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역량교육의 취지를 지식, 기능, 태도의 관점에서 성취기준에 실질적으로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는데 이러한 취지가 반영되었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하여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에서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2015와 비교·분석한다.
결과 지식 차원에서는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모두 ‘사실적 지식’이 가장 많이 분포되었고, ‘개념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은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모두 거의 없었으며, ‘메타인지 지식’은 2015와 달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소 비중이 높아졌는데 이는 전략적 지식과 정의적 태도를 성취기준에 반영한 결과로 분석된다. 인지과정 차원에서는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모두 ‘기억하다’와 ‘이해하다’의 저차원 인지 기능에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15와 달리 2022 교육과정에서는 ‘창의하다’와 ‘평가하다’와 같은 고차원 인지 기능이 도입되는 변화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변화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의 취지를 반영하기 위해 지식, 기능, 태도의 차원에서 성취기준을 균형적으로 제시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2015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Method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de efforts to ensure tha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examine whether this purpose has been achieve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in 2015 and 2022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ults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the most distributed in “factual knowledge”. There were almost no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Meta-cognitive knowledge has increased in propor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is analyzed as a result of reflecting strategic knowledge and affective attitud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low-level cognitive functions of “remember” and “understand”, but unlike 2015, the 2022 curriculum showed a change of introducing high-leve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evaluate” and “create”.
Conclusions These changes show that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rives to pres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a balanced manner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order to reflec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영어과 성취기준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