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이용수 328
- 영문명
- Exploring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Role of Teachers in the AI Er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정(Hye-Je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283~3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AI 시대 사회변화에 따라 요구되어지는 교사의 역할을 예비교사들의 인식체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D대학교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교사들은 미래 사회 학교교육에 대한 AI의 영향력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학습자 개별맞춤식 교육과 교원업무경감, 교육격차 완화라는 긍정적 성과 반면, AI에의 의존성 강화, 평가 시 공정성 시비, 개별주의에 대한 우려를 표하였다. 교사는 교육에 대한 사명감, 인간적인 이해와 공감, 올바른 삶의 안내자로 기계인 AI가 결코 교사를 대체할 수는 없으며 향후 교사의 역할로는 수업기획자, AI 관리자, 공감적 리더, 공동체적 삶의 안내자,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자로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첫째, 예비교사들은 사회변화로 인한 학교의 변화 필요성을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사회변화 촉진자로서의 주체적 면모를 보여주고 있으며 둘째, 교육에 대한 AI 영향력의 양면성에 주목하면서 교육의 역할을 인간성을 중심으로 윤리적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서 교사의 역할을 가치론적 관점에서 조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와 학생의 관계를 이해와 공감으로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자기성찰의 면모를 엿볼 수 있으며 넷째, 바람직한 인간 삶의 모습을 공동체적 삶으로 규정함으로써 학교가 지향해야 할 교육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ew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teacher’s role in the AI era.
Methods For this, reflective writing was used for 101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enrolled university located in D metropolitan.
Results Pre-service teachers predicated that AI’s influence on school education would increase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they concerned about excessive dependence on AI, fairness in evaluation and individualism while there were positive aspect of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learners, reducing teachers’ work and reducing the academic gap between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eachers were who guide students to the human life by understanding and empathizing for them with a sense of duty in education and that AI could never replace them. They thought that teachers in future society should play the role of class planners, AI administrators, sympathetic leaders, guides to community life, and persons wh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Conclusions Frist, Pre-service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 the need for school change due to social change and show their’s subjective appearance as subjects for school change. Second, focusing on the ambivalence of AI in-fluence on education, they define the role of teacher in terms of ethics aspect, focusing on humanity. Third, it can be seen that pre-service teachers have a self-reflection aspect, in that they define the identity of teachers through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th, Pre-service teachers suggest what the educational direction schools should be by defining the desirable human life is com-munity life.
목차
Ⅰ. 서론
Ⅱ. AI 시대 학교교육과 교사의 역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