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이용수 73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Geometry」 and 「Earth Science II」 Textbooks on Ellipse Co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남구(Nam Gu Heo)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호, 319~3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1.15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의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타원 작도에 관한 의미와 그 방법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타원 작도에 관한 의미와 그 방법의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분석 기준은 작도의 사전적 의미와 작도 방법으로 나누었다. 구체적으로 타원을 작도하는 방법은 필기구를 이용하여 대략 그리는 방법, 교구를 활용하여 그리는 방법, 수학 공학 도구를 활용하여 그리는 방법으로 분류하였다. 7종의 「기하」 교과서와 4종의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타원 작도 관련 내용을 분석틀에 맞추어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7종의 「기하」 교과서와 4종의 「지구과학Ⅱ」 교과서 모두 타원을 그린다는 의미로서의 작도 활동을 제시하였다. 둘째, 5종의 「기하」 교과서는 자와 컴퍼스를 이용하여 수학적인 의미로 타원을 작도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셋째, 「기하」 교과서의 경우, 4종은 동심원을 이용한 작도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4종은 종이접기를 활용한 방법을 제시하였고, 5종은 압정과 실을 활용하여 작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넷째, 4종의 「지구과학Ⅱ」 교과서는 같은 타원 작도 활동이 제시되었다. 모든 교과서는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화성의 타원 궤도를 그리는 활동, 압정과 실을 활용하여 작도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결론 과학·수학·정보·환경 교육과정의 연계가 강조되고 있은 바,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과학을 연계한 교육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최근 과학교육에서 수학 공학 도구의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지구과학Ⅱ」 교과서에서도 공학 도구를 활용한 타원 궤도의 작도 등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eaning and method of ellipse construction of the 「Geometry」 and 「Earth ScienceⅡ」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To do this, an analysis framework for the meaning and method of ellipse construction was developed, and the contents related to ellipse construction of seven 「Geometry」 textbooks and four 「Earth ScienceⅡ」 text-books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framework.
Results First, seven 「Geometry」 textbooks and four 「Earth ScienceⅡ」 textbooks all suggested activities to mean drawing ellipse. Second, five 「Geometry」 textbooks presented the activity of constructing an ellipse using ruler and compass. Third, in the case of the 「Geometry」 textbooks, four presented a method of drawing using concen-tric circles, four presented a method of using origami, and five presented a method of drawing using pushpin and thread. Fourth, the same ellipse drawing activity was presented in the four 「Earth Science Ⅱ」 textbooks. All text-books presented activities to draw the elliptical orbit of Mars based on observation data, and methods of drawing using pushpin and thread.
Conclusions Since the link between science, mathematics, information, and environmental curriculum is em-phasized,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on the curriculum linking mathematics and scienc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n addition, research on how to use mathematical technologies in science education has recently been conducted, so follow-up research on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o con-struct an ellipse orbit such as using mathematical technologies,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Earth ScienceⅡ」 textbook.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4권 1호 목차
- 「무지개 물고기」 그림책 시리즈의 의미
- 외상 후 스트레스(PTSD) 관련 음악치료 중재 연구 동향 분석
-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초등학교 사회과 인공지능융합 수업 사례 개발 및 적용 연구
- 학사학위과정 간호사의 계속교육 참여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 초등교사의 소진 경험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학생의 학교급식 참여 활동에 나타난 ‘학생주도성(Student Agency)’ 실천 경험 연구
- 성인여성의 불안정 애착이 정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긍정심리기반 보완대체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내용분석
- 고용센터 심리안정지원프로그램 상담사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진로적응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국어 명사절, 관형절의 논리-의미 유형 연구
- 초등학생의 학습의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성인 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이성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감정적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 클래식 음악을 활용한 음악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 전문상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긍정-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 제주 4·3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적용 방안
- 부모와의 상호작용과 또래애착에서 정신건강과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의 건설기술 관련 단원에 대한 내용학적 분석
- 건강·웰니스 실무 관리자를 위한 온라인 통합교육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 “That’s Me as an English Teacher”: Using Metaphor Drawings to Assist Secondary English Teachers to Explore their Identities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건강성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 학생의 디지털 정보격차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 일반교육(general education)으로서의 초등교육의 개념
- 타원 작도에 대한 「기하」 교과서와 「지구과학Ⅱ」 교과서의 비교 분석
- 핵심역량별 비교과 로드맵 도출을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및 성과 분석
- 월경전증후군 간호대학생의 내분비계 교란물질 노출, 사회적 지지가 임상실습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메타버스(moim) 활용 교육에 대한 학습자 실태 및 인식
-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반추를 매개로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열의 사이의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검증
- 중년기에 진로전환을 한 여성 심리상담사의 진로결정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이미지 자료에 대한 고등학교 인공지능 수학 학습자료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육과정의 내용 및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분석
- 유아교사의 소명의식 연구 동향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통합적 조기중재치료가 언어 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고찰
- 성취평가제 확대 적용에 따른 대입전형 평가의 방향
- 예비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ESD) 내용을 주제로 구성한 통합적 유아동작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성별, 출생체중, 재태 연령, 출생 방법에 따른 자폐 증상 심각도 차이
- 다문화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사회적 위축에미치는 영향
- 데이터 기반 적응형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지표에 대한 교수인식
- AI 시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색
- 주요 내용어의 인지 단서 제공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읽기 이해의 차이
-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 고성취동기 학습자의 학업착수지연과정에 공부에 대한 당위적 사고가 미치는 영향
-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공감능력이 임상추론역량에 미치는 영향
- 2022 개정 교육과정 ‘학교자율시간’ 실행 경험 탐색
- 중·고등학생들의 통계에 대한 태도 검사도구 개발
- 여성청소년의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교실에서 실행한 교육과정으로 본 학생 존중의 의미
- 대학생을 위한 진로 자기주도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성인의 의도적 반추와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및 외상후 성장의 관계
-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 A Methodology for Teaching Corpus-Based English Vocabulary to Korean College Learners
- 초등영재의 간편 지능검사를 위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K-WISC-V)와 한국판 카우프만 지능검사(KBIT2)의 상관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